::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2/10/23 21:50
아.... 일주일전에 새우탕 한개 먹었는데
근데 평소에 먹는것도 자세히 안 살펴서 그렇지 크게 안다를꺼라고 생각하고 넘겨야겠네요ㅜ
12/10/23 21:50
신라면에는 없겠죠?ㅠㅠ
입이 심심할 때마다 뿌셔서 생라면으로 먹었는데.... 한 시간 전에 마트에서 너구리우동 컵라면을 집어 들었다가 신라면 컵라면으로 바꿨는데...크
12/10/23 21:54
평생 농심의 노예였지만..
나가사끼 짬뽕 이후로 삼양으로 갈아탔습니다. 빨리 자취생활을 끝내야 몸에 안좋은 라면을 안먹을텐데..... 어여 취직해서 회사에서 아침 점심 저녁 다 먹고 오고 싶네요.... 밥은 주기나 하려나 크크
12/10/23 22:01
우지파동으로 농심이 라면시장 1위로 올라섰다는건 잘못된 사실입니다...우지파동이 일어난 1989년에 농심은 이미 라면시장의 점유율 50%넘어서 20%미만에 그치던 삼양을 압도하던 시절이었죠....안성탕면-너구리-신라면 3연속 대박이 덜덜덜...
그것과 별개로........너구리를 한약처럼 챙겨먹은 나는 이제 어디로........
12/10/23 22:02
우지파동 얘기가 나와서 꺼내는 다소 아웃 토픽인데... 우지파동이 농심이 원래 1위였던 삼양을 견제하는 차원에서 나온 루머였다는 얘기도 가끔 넷에서 봅니다만.. 농심은 우지파동 6년전인 85년에 업계 1위가 됐고, 우지파동이 일어나기 직전엔 더블스코어로 넘어서고 있었습니다.
12/10/23 22:07
며칠전에 튀김우동 큰사발면을 몇 개 샀는데요.
이것도 우동인데 목록에는 없군요. 나름 신기하네요... 왜 이 우동만 다를까요...? 신라면, 안성탕면이 찜찜하다고 하시는데 이건 더 찜찜하네요...
12/10/23 22:12
해물/우동 계열 라면 스프에 들어가는 가쓰오부시 라는 재료가 발암물질에 오염되어 있었다네요.
그걸 스프 제조 하청업체가 모르고 그냥 막 찍어내다가 이번에 적발된듯 합니다. 한동은 해물 우동 계열 라면은 좀 피해야 겠네요;;
12/10/23 22:14
농심은 뭐 하루 이틀도 아니고...........
이번에도 그냥 넘어갈것이고 소비자 여러분들은 또 머릿속에 지우개를 달고 싹 지워버릴 것이고..
12/10/23 22:34
이쯤에서 대안.
풀무원-자연은 맛잇다. 삼양 -붉닭볶음면,간짬뽕 오뚜기 - 진라면 (안 질려서 은근히 꾸준하게 먹음.) 돈라면은 제발;
12/10/23 22:40
일단 농심 라면 자체를 안 먹기는 하는데...
아, 그러고 보니 아직 육개장 사발면이 집에 남아 있군요. 그런데 가쓰오부시라면 일단 신라면 같은 라면에는 안 들어갔을 것 같긴 합니다.
12/10/23 22:46
삼겹살이나 한우를 구어서 먹는 경우가 라면보다 발암물질이 웃돌것으로 보입니다만..
이것 저것 따지다 보면 발암물질 천지일 듯 해서, 그냥 그러려니 하렵니다.
12/10/23 22:57
제가 지금 갑상선암 때문에 2주후 수술을 앞두고 있는데.. 저의 암 원인이 혹시 너구리 인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라면은 너구리만 먹어와서
말이죠. 너구리 평생이용권 받은 양학선 선수는 발암물질을 선물 받은거네요.
12/10/23 22:58
타격을 클 것이라 봅니다. 일단 아이들을 키우는 입장이라면 이 사실을 안 이상 구매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죠..
근데 자세히 보니 ..MBC 특종이네요...의심이 가네요..
12/10/23 23:15
이런 기사가 있네요.
"식약청은 해당 제품 섭취로 인한 벤조피렌 노출량은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평균 0.000005㎍을 섭취하는 수준으로, 조리육류의 벤조피렌노출량 보다 16,000배 낮은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국민이 조리육류 섭취로 인한 하루 평균 벤조피렌 노출량은 0.08㎍이다.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1&nid=157095
12/10/24 00:16
기호식품이긴하지만 담배와 비교한다면 어느쪽이 더 위험할까요?
라면 즐기진 않지만 가~~~끔 먹는 입장에서 저 농도란게 치명적인건지 어느정도로 실제작용을 하는건지 감이 정확하게는 안오네요. MBC라디오로 처음 소식을 접했는데 아나운서 설명으론 "먹으면 님 무조건 암임" 같은 느낌이었는데...
12/10/24 00:26
허허허허 저는 말입니다..그 농심 생생우동에 들어가는 그 원액스프...그거 1.8리터 짜리 통으로 쓴단말입니다.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핳. 모밀국수에 들어가는 그 원액스프도 통으로 있는데;;; 그거 여름마다 소바 해서 매일매일 쳐묵었는데;;;;
12/10/24 00:35
뭐 농심이 좀 괘씸한 면이 없지는 않은데..
돼지고기 불백을 즐겨 만들어 먹는데 그것도 아주 바싹 익혀...태워 먹는 입장에서는 저정도 벤조피렌이야 사실 큰.... 그리고 그분은 왜 라면 용기에 벤조피렌이 들어있지 않느냐고 한 소리 하시겠지.
12/10/24 00:42
농심은 원래부터 싫어했다가 새우깡(비록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이였지만)에서 쥐머리가 나온 이후
연속적으로 라면 등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는 뉴스를 접하고는 라면 뿐 아니라 과자 자체를 다 끊었습니다. 와이프한테도 왠만하면 농심제품 사지 말라고 하죠... 얘네는 반성의 기미가 안보여서요...
12/10/24 01:36
컵라면은 애초에 안좋아하고 너구리는 면발이 영 맛이 없어서 안먹었는데 전 해당사항 없긴 합니다만... 이거 뭐 한번 터지니 다른것들도 믿을수가 있어야말이죠. 라면 신라면밖에 안먹는데...
12/10/24 06:35
물론 기업측에서 정말 억울한 케이스가 될 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국민의 안전을 먼저 생각해야 할 식약청에서 발암 물질이 검출이 되었는데도 "안전하다" 고 말해주는게 참 유머스럽네요.
12/10/24 11:56
지금 현재 볶음요리나 구이, 튀김, 훈제 요리 등 기름을 쓰거나 태우는 요리를 아예 안드시고
담배도 안피우시고 깨를 볶아서 나오는 참기름도 안드시는 분이면 너구리 불매 하셔도 되겠습니다. 일단 너구리 스프 하나에 든 양이 저것들보단 훨씬 적으니까요. 식약청 허용치에 분유가 있는 걸 보면 분유 안에도 많든 적든 들었다는건데 신경 안쓰고 다들 먹이고 있죠. 전 일단 담배는 안피니까 계속 라면 먹을래요.
12/10/24 12:31
뭐 별로 신경은 안 쓰려 했지만 그래도 찝찝함은 남네요.
그러나 저러나, 저는 진즉에 오동통면과 남자라면으로 갈아탔는데...아..남자라면 맛있어요..ㅠb
12/10/24 16:44
이런 글 보다보면, 어차피 무엇무엇도 하는데 이것가지고... 라는 댓글을 자주 보는 것 같습니다.
"라면보다 육류가 더 위험하니까, 육류를 먹는다면 라면도..." "미국소보다 담배가 더 위험하니까, 담배 피운다면 미국소도..." 그냥 위해식품에 대한 정보를 알고, 줄일 수 있는 부분(당장 줄일 수 없는 부분은 노력한다고 해도)은 줄이는 방향으로 가는 게 낫지 않을까요? 저는 제일 안좋다는 담배를 피우니까, 그깟거에 비해 아무것도 아닌 농심라면도 먹고, 미국소 먹어도 되고, 카페인 섭취하고... 그러면, 아무래도 좀 빨리 죽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