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0/11 01:53:42
Name JunStyle
Subject [일반] 고용자와 피고용자의 수익 분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개인 사업을 하는 1인입니다.
사업을 한지는 올해가 8년째구요.
지금 3번째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대박이었구요, 두번째는 쪽박이었구요, 세번째인 지금은 뭐 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PGR 회원님들께서는 고용자가 아니라 피고용자가 많으시겠지요. (우월감의 표현은 전혀 아닙니다.)
지금까지 8년동안 사업을 하면서 가져왔던 궁금증이랄까? 물론 제 스스로의 철학은 있습니다만,
주변에 이런 얘기로 상담은 아니고 그냥 대화를 해보면 굉장히 많은 차이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적어봅니다.


회사를 운영하면서 일정 수익이 발생하고, 그 수익은 회사의 구성원들에게 돌아갑니다. 오너인 저에게도 돌아오죠.
그런데 회사의 구성원이라는 부분에서 A, B, C, D 라는 구성원이 생깁니다.
A, B, C, D 라고 나눈 부분은 업무 환경의 의해서 나눴다고 아주 심플하게 가정하구요.


A 에 가까울수록 하는 업무의 결과에 따라 회사의 수익이 변할 수 있는 파트

D 에 가까울수록 하는 업무의 결과와 회사의 수익은 전혀 변하지 않는 파트


물론 어떤분들은 D 라는 파트가 있을 수 있냐라고 반문하시지만
그리고, 그 파트의 정의는 개개인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충 말씀드려보면

고객을 직접 응대하지 않는 단순 반복 작업들이 대게 D 에 포함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불량률이 나오는 생산 파트 같은건 제외되구요.

개인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정의가 있는 파트지만, 어쨌든 저렇게 나눈다고 가정했을때


A 에 가까운 직원들은 각자 개별적으로 연봉 협상을 하여 결정하면 되겠지만
문제는 D 에 가까운 직원분들입니다.


D 에 가까운 직원분들은 없어서는 안되는 분들이지만, 회사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라고 보기는 애매합니다.
왜냐면 D 의 자리에 있는 분들은 누가 일을 해도 비슷한 결과물을 도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죠.


즉 인형 눈에 눈달기와 같은 업무는 A 에 가깝지만, D 에 가까운 업무들은 정해진 시간내에 주어진 일만 하기 때문에
회사의 발전과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회사의 수익이 매년 20% 씩 증가한다고 했을때

D 의 업무를 담당하는 분들도 연봉도 20% 씩 올려줘야 할까요?
아니면 그냥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연봉 상승률인 5~6% 씩만 올려줘야 할까요?



그리고 또 하나, 저는 개인이 하는 업무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기반으로 급여를 책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최저 임금 이상은 당연히 지켜야 하겠지요.


하지만 D 의 업무를 하시는 분들께 년 5% 씩의 연봉 상승을 지급했을때
10년 이상 장기 근속을 했을 경우 그 분의 연봉은 동종 업계의 D 의 업무를 하시는 분들보다 월등히 높아집니다.
아마 1.5 배 이상 되지 않을까 싶네요.

이런 상황이 당연한건가요? 아니면 당연하지 않은건가요?



간단한게 저의 철학을 말씀드리면 개인의 급여는 개인이 창출하는 부가가치만큼 책정되야 한다고 생각되어
D 에 가까운 파트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연봉 상승은 회사의 수익 증가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세팅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장기 근속시에는 해고하는게 아닌, 일정 금액 이상의 연봉 상승은 제한된다고 미리 언질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고용 보장은 해주되, 일정 금액 이상의 임금 상승은 불가능하다는걸 서로 이해하고 받아드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P.S 제 자랑은 아니지만 저는 나쁜 고용주는 아니었습니다. 좋은 고용주는 아니었지만, 동종 업계와 비교하였을때 항상 좋은 조건을 제시했으면 제시했지 나쁜 조건을 제시한적은 없었습니다. 절 나쁜 사람으로 보시는건 관계없는데 나쁜 고용주로 보실까봐 남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리탐구자
11/10/11 01:56
수정 아이콘
미리 언질을 하고, 피고용인이 납득한다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보입니다. 합리적 근거가 없는 건 아니니...
불만은 있을 수 있겠지요. 뭐 그건 고용주가 알아서 컨트롤 할 문제고...
절름발이이리
11/10/11 02:03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
11/10/11 02:11
수정 아이콘
임금 협상제나 임금 피크제가 더 많이 도입되었으면 좋겠네요.
전반적인 내용에는 동의합니다.
블루팅
11/10/11 02:14
수정 아이콘
본인 능력에 따른 임금인데 글쓴분이 말씀하신게 당연한게 아닌가 싶네요;;
28살 2학년
11/10/11 02:29
수정 아이콘
최근 한진중공업과 관련된 이야기인지 아니면 본인의 이야기인지는 자세히 모르겠습니다만...
우리나라는 노동시장 유연화에 대한 제도적 장치와 국민적 공감대가 아직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습니다.
이건 동양과 서양의 문화차이가 큰 것도 있고(동양은 근로자에게 있어 정년/고용보장의 동기가 강하고, 서양은 성과보상에 대한 동기가 강합니다.)
앞서말한 제도적 장치의 유무에 따라서도 갈립니다.
노동시장이 굉장히 유연하다고 알려져 있는 북유럽 국가들은 직장에서 해고 당해도 실업수당이 보장되고 직업교육에 대한 지원이 강력합니다.
또, 인구와 일자리 차이도 있습니다.
북유럽 국가들은 일자리는 많은 대신 인구가 적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취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동양은 그렇지 않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상황을 보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도 마찬가지로 고용시장이 점차 서양화 되어가는 추세입니다.
JunStyle님의 생각은 가치판단의 문제이기에 어느것이 맞다 틀리다라고 대답해드리기가 곤란합니다.
하지만 확실한것은 반드시 기본적인 사회 안정화장치가 준비되어 있어야 말씀하신 그러한 제도를 시행할 수 있다는 겁니다.
아직 우리나라는 그런 안정화장치가 너무 약합니다.
맥주귀신
11/10/11 02:33
수정 아이콘
뭐 이상적으로 그렇습니다만 그들이 회사에기여하는무형의 가치가있을겁니다 계산하긴어렵지만요
김연아이유
11/10/11 04:27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합리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JunStyle님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누가해도 상관없고 누가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지만 꾸준히 누군가는 해줘야할 업무가 있을때 그걸 해주는 사람에게 얼마만큼의 임금을 지불해야하는가?, 그들의 업무는 기업이 달성하는 초과수익에 기여하지 않았으므로, 수익의 과실을 직접적으로 나눈다는 개념보다는 사회전체적인 평균 임금상승률 5%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게 더 합리적이며, 누가해도 상관없는일에 비슷한 업무를 하는사람과의 너무큰 임금차이또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임금의 상한이 있어야한다.

지적하고 싶은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1. 사실 초과수익에 기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누지 주지않다면, 손실에도 기여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손실도 나누지 않는게 공평합니다.
하지만 정반대로 D파트의 사람들은 회사가 어려워지면 대개 정리1순위가 되는게 보통입니다. 만약 회사가 어려워졌을때도 일정정도 임금상승률을 보장할수 있다면 말씀하신 방법이 좋지만 그렇지 않고 초과수익을 나눈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임금동결시킨다면, 그것은 달면삼키고 쓰면 뱉는것과 다를바 없이 공평하지 못합니다. 그때문에 초과수익에 대한 일정부분의 공유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 말씀대로 성취도가 낮기때문에 오래못하는 일이라면 어짜피 오래할사람없는데 굳이 임금상승률의 상한을 정해줄 필요가 있을까요?
또한 누가해도 상관없을 일에 같은 노동을 하는사람들의 임금차이가 많이나는것은 문제가 있습니다만, 그 비율이 말씀하신 1.5배정도라면 그건 사실 작은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사람일을 이론적으로 딱딱 재단해서 절대기준으로 가격을 매길수있는것도 아니거니와 온갖 외부적인 요인으로도 같은일로 보이는 일 대한 평가가 몇배로 달라지는것은 살면서 흔히 볼수있습니다.
또한 장기근속에 대한 보상은 일종의 성실성에 대해 인정을 해준다는 의미일텐데, 저는 꾸준함과 성실성을 보여주는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몇배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성실성의 댓가로 동종일에 대해 두배정도의 임금차이를 보이는것도 저는 충분히 인정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3. 상승된 임금의 상한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동종업무에 대해 비슷한 임금수준을 준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는게 아니라 사회전체적인 소득수준계층을 감안했을때 50% 수준이라든가 이런식으로 정해져야 하는게 최소한 이론적으로는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꾸준함에 대한 보상으로 부자가 될정도의 수익은 당연히 보장 못해주지만, 보통 서민 정도의 수익정도까지 임금상승되는것은 보장해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라는 자본주의의 숙명을 감안했을때, 그 상한에 도달하여도 정말 최소한 수준의 임금상승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탁상공론이나마 현실적인 장벽을 고려한 제 결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초과수익에 대해 직접적인 기여가 되는 업무를 수행한 사람만큼 수익을 나누지는 못해도 일정수준의 초과수익배분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5% 고정이 아니라(어짜피 어려워지면 동결될것이므로) 회사 수익에 때라 3%~10% 라는 식으로 말이죠.
성실함에 대한 가치는 작지 않기 때문에 장기근속에 대한 임금상승의 상한은 동종업무하는 사람의 두세배 수준정도까지는 인정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테면 10년 근속이면 두배, 20년 근속이면 세배정도가 되는정도? 애초에 저렴한 업무 특성상 설사 신입보다 임금이 세배가 된다 하더라도 우리사회의 임금평균수준일것으로 예상합니다.

물론 제의견은 사업을 해본사람의 의견이 아니기 때문에 정말 현실에서는 문제점이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람고용하고 회사운영하는건 정말 어려운일일것 같습니다.
부기나이트
11/10/11 08:38
수정 아이콘
D를 A만큼 대우해주면 전제가 깨집니다. A가 열받아서 나갈테니까요.
켈로그김
11/10/11 10:18
수정 아이콘
회사는 아니지만.. 2명을 고용해서 쓰는 입장으로, 사람을 쓰고 임금수준을 정하는 부분이 어렵긴 합니다.
본문과 리플로 나눈 말씀들의 수준이 하이테크-c 펜이라면,
제가 고용인들의 임금책정에 대해 고려하는 기준은 숯덩어리쯤 되지 싶습니다.
그럼에도 리플을 달자면,

일단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내가 자리를 비워도 되는 상황을 만들어 줄 수 있는가" 이고,
"이 사람이 빠지면 내가 얼마나 커버해야 하는가" 입니다.

굉장히 자기중심적(;)인 사고로 보일 수 있는데,
실상은.. 제가 이 영업장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고용인을 둔 목적은 어디까지나 합리적인 수준까지 저의 노동시간.강도를 낮추는데 있기 때문에..
저 자신을 기준으로 두는 것이 곧 고용인의 역할수준을 가늠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임금이나 노동강도에 있어 '적정수준' 이라는 것을 가늠하기에
적어도 "체감적으로"는 더 고용인들의 입장을 이해하기에 용이한 위치가 아닌가 합니다.
뭐가 더 어렵고, 스트레스는 어떨 때 받기 쉬운지에 대해서 많이 겪어보고, 그 이상으로 배려하려고 고민은 하니까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11/10/11 11:27
수정 아이콘
1. D타입의 분들은 동종업계만큼만 주고 연봉상승도 물가상승률 이상은 해주지 않는다. 늘 대체가능한 자원으로서 이직률을 높게 유지한다.
2. D 타입의 분들에게 경력계발의 기회를 제공해서 점점 C -> B -> A로 올 수 있도록 한다. D의 연봉상승률은 현 정책을 따른다.
3. 근속연수에 따라 지속적으로 (동종업계보다 높아지던 말던) 5~6%씩 상승시켜준다.

3가지 다 근거가 있죠. 뭐가 옳고 그른건 없을것이고.. 자본주의적 관점이냐.. 노동주의적인 관점이냐 등등..

결국은 D타입의 분들을 대체가능한 자원으로 보느냐 아니냐, 혹은 D타입의 분들이 일적이 아니라 오래 근속함으로서 회사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평가하느냐 마느냐(예를들어 직원을 내치지 않는 회사, 라는 이미지라던가, 의리있는 회사라는 이미지라던가.. 혹은 아무리 D타입의 일이라도 오래 일을 하게 되면 회사내의 분위기측면에서라도 조금은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던가.) 등을 고려하셔야 겠죠?

뭐가 옳고 그르다 라는 문제는 쉬운게 아니고, 사람마다 자신의 포지션에 따라 이해관계를 따질거고 뭐가 맞다 아니다 하겠지만....

결국 글쓴이분의 Main Purpose 는 Going Concern 일겁니다. 그럼 본인 사업유지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결정하시면 되는겁니다.

만약 글쓴이가 현재 정책을 유지하는데 정의롭고자 하신다면, 예를들어 회사의 수익이 줄었을때는 A타입의 분들은 오히려 연봉이 동결되거나 삭감되는 대신, D타입의 분들은 약속대로 올려줄 수 있어야겠죠? 최소한 물가 상승분 만큼은? 그분들때문에 회사의 퍼포먼스가 바뀐게 아니니까요.

결국 정의롭냐 옳고 그르냐의 문제는, 저중에 어떤 관점이 옳고 그르냐가 아니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하나의 기준을 미리 천명하고' , 상황에 따라 사장님이(글쓴이분이) 유리하신대로 왔다리갔다리 하시지 않으면 되는겁니다. 그 기준이 글쓴분의 사업에 도움이 되느냐 아니냐는 순수하게 사업본위로 판단하시는게 옳을 듯합니다.

개인적으로는 D타입의 분들은 동종업계 이상은 줄 필요 없고, 다만 A~C 타입으로 자기 직무를 바꿀 수 있는 자기계발의 기회를 제공하는것이 조직 건전성 측면에서 제일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11/10/11 11:35
수정 아이콘
그리고 여담으로..

사회전체적인 평균임금상승률이 5%는 아닐듯합니다. 평균임금상승률이 5%이면 15년에 2배씩 임금이 오른다는 얘기인데... 96년에... 현재 연봉수준 절반보다는 훨씬 높았던거 같습니다.
사악군
11/10/11 13:43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럼 반대로 생각하면 기업의 수익이 나빠지더라도 D는 임금이 삭감되어서도 안되겠죠? 어떻게 보면 물가상승율만큼은 인상을 보장해줘야할지도 모르겠군요. D의 업무는 수익을 나쁘게 하지도 않을테니까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11/10/11 16:23
수정 아이콘
1. 대체가능한 자원이고, 2. 시장에 대체 자원이 많이 있으며, 3. 근속이 힘든 일이라면..

스타팅 샐러리를 동종업계에서 좋은 수준을 유지하시면서 5%~7%씩 올려주시면 ..

...

D타입의 일을 하시는 분들꼐는 만족할 만한 수준 아닌가요? 문제는 임금수준이 너무 많이 올라가는것이라면, 4%로 낮춘다던지.. 등등. 그 다음에는 사원복지 부분을 고민하셔야 할것같은데요.. 야근식대라던지, 도서구입비라던지, 휴가라던지 등등... (뭐 더 나아가면 할게 많겠지만, 소기업수준에서는 저정도면 되겠지요.. 우선은...)
바알키리
11/10/11 16:44
수정 아이콘
d파트의 부분이 부가가치는 많이 창출하지 못하더라도 d파트 없이는 제품의 제조나 용역업무의 완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약간은 불합리할수도 있겠네요. 물론 d파트는 아웃소싱해서 할 수 있지만 그럼 회사의 수익이 더 줄어든다고 가정할때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64 [일반] 어른이 되었습니다~ [30] 삭제됨6728 11/10/11 6728 2
32263 [일반] 전차열전 (11) 독일 대전차 자주포/구축전차 上 [6] SperoSpera6853 11/10/11 6853 0
32262 [일반] 북유럽 신화 - 등장 신과 거인 [30] 눈시BB9426 11/10/11 9426 0
32261 [일반] 꿈은 조금 멀어지고 죽음은 조금 가까워진. [18] 헥스밤6825 11/10/11 6825 10
32260 [일반] 가입인사 드립니다. [52] darkmusic4084 11/10/11 4084 0
32259 [일반] . [21] 한아3789 11/10/11 3789 1
32258 [일반] 유게 이태원 클럽 이야기를 읽고 제 경험 한번 이야기 해볼게용. [107] 삭제됨27666 11/10/11 27666 0
32257 [일반] 북유럽 신화 - 창세와 대략적인 설명 [47] 눈시BB8565 11/10/11 8565 1
32255 [일반] iPhone 4S, "갤스2 보다 1.77배 빨라" [154] ㅇㅇ/11039 11/10/11 11039 0
32252 [일반] SimonD/FT아일랜드/2PM의 MV와 오렌지캬라멜/김현중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7] 세우실3847 11/10/11 3847 0
32251 [일반] 지능 이론 연재 [3] TimeLord8421 11/10/11 8421 0
32250 [일반] 고용자와 피고용자의 수익 분배에 대하여 [31] JunStyle4056 11/10/11 4056 0
32249 [일반] 어장관리 [61] Love&Hate11478 11/10/11 11478 6
32248 [일반] 서울시장 TV 토론회 보셨나요? [47] Leeka7278 11/10/11 7278 0
32247 [일반] [잡담] 내가 뽑은 한국드라마 BEST8(스크롤 압박) [80] 슬러거11960 11/10/11 11960 2
32246 [일반] '나는 꼼수다'의 자매방송 '나는 꼽사리다'가 등장합니다 [15] 어진나라5865 11/10/10 5865 0
32245 [일반] 여러분이 처음 접하신 만화는 뭔가요? [127] 에휴존슨이무슨죄6430 11/10/10 6430 1
32244 [일반] 나쁜 언론 [67] nickyo6650 11/10/10 6650 4
32243 [일반] 진단서 발급 비용. [29] 朋友君5850 11/10/10 5850 0
32242 [일반] 스마트폰 구입 [11] Kurenai254756 11/10/10 4756 0
32241 [일반] 글을 써 보아요. [24] 눈시BB5861 11/10/10 5861 5
32240 [일반] 복귀신고 다시 하겠습니다. (+퍼플레인님께 썼던글) [63] 8811 11/10/10 8811 0
32239 [일반] 주진우 기자의 특종 - 대통령 장남의 내곡동 땅 구입 사건 [134] KARA8225 11/10/10 822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