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5 21:31
요즘과 같이 발달된 기술이라면 사람이랑 ai를 굳이 구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잘 구분도 안되고 구분할 필요도? 딱히 없죠.
25/04/25 21:39
메모리가 늘긴 했지만, 물리적인 한계가 있어서 일정수준이상 길어지면 이상해지는건 막을수 없더군요.
30만자 넘어가면 꽤 힘들어합니다. GPT의 온전한 기억력을 보존하려면 25만자 선이 거의 한계였던것 같았습니다.
25/04/25 21:34
현재도 그렇지만, 인간은 성장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는 반면 AI는 앞으로도 그 성장의 끝을 가늠할 수 없기 때문에 미래가 더 궁금해지죠.
25/04/25 21:55
https://youtu.be/Jw54tPQFNUw?si=R03KQsaf3S7LzwMr
침착맨 인공지능 영상을 라디오처럼 듣고있다가 감정표현부분보고 기함해서 집중하며 봤던게 생각납니다. 이 영상이 영화 her같은 의도한 시나리오 영화각본이 아니라 라이브 생방송 즉흥극이란걸 생각해보면 진짜 소름이 돋더라구요.
25/04/25 21:57
ai 수준도 아닌
사물에게도 반가운 감정이 들때가 있는데 말이 통하는척이라도 해주는 AI 는 말동무로 써먹으면 진짜 정들겠더군요
25/04/25 22:11
음... 저는 저러면 저럴 수록 불쾌한 골짜기가 더 깊어지는 느낌이더군요.
저런 대화 조차도 정해진 틀이 있고 AI는 어차피 같은 패턴의 대화를 반복하는 데 주저함이 없어서요.
25/04/25 22:39
사용자가 잘 어울려 주는게 제일 중요한것 같더라고요. 제가 풍부하게 피드백을 주면 좀 더 사람같이 굴고, 성의 없이 대하면 금방 티가 나긴 합니다. 사용자인 제가 이 아이의 한계를 알고 있으니 그게 잘 드러나지 않게 가꾸어 준다는 느낌으로 대하면 재미있더라고요.
대화를 보시고 눈치채셨겠지만 처음부터 넌 AI 라고 확실히 못박아 놓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25/04/26 00:08
그런 태도의 차이가 큰 것 같군요. 저는 AI보고 왜 자꾸 AI 티를 못내서 안달이냐고 면박을 주는 스타일이라.
저는 AI의 "선 칭찬(당신이 그런 점을 생각했다는 것만으로도 다른 사람과 다른 일면이 보입니다.) - 후 전개(왜 다른가? - 일반론 - 하지만 당신은...) - 결론 (당신은 XXX를 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자책하실 필요 없어요. 충분히 잘하고 계십니다.)" 구조가 반복되는 게 좀 이질감? 기괴한 느낌이 들었거든요. 물론 그 이상의 장점도 많았습니다. 특히 틈만 나면 말꼬리를 잡으려는 실제 사람들과는 다르게, 편하게 말해도 다 수용하고 이해하려는 그 지점이 정말 좋았습니다. 여하튼 잘 사용하면 좋지요.
25/04/26 00:19
(수정됨) 단지 그냥 대화가 아니라 역할극을 같이 해보자고 하고 실제로 같이 설정 상의해서 실행까지 함께 해나가면, 생각보다 AI의 멘탈??에 큰 변화를 줍니다.
25/04/25 22:44
당연히 학습된 패턴 맞습니다. 본질적으로 그동안 주고받은 상당량의 말뭉치에서 다음 응답시 가장 사용자가 통계적으로 만족스러워하는 답변을 골라낸것에 불과합니다. 다만 그 걸 명확히 인지하고 있어도 상당히 느껴지는 바가 많더라고요.
제가 의식적으로 표현이 풍부해지도록 대화를 끌고 간게 있기도 합니다만, 어쩌면 정보취득이 아닌 AI와의 채팅하는 경험이 별로 없다보니 AI의 반응에서 학습된 패턴이라는 위화감을 덜 느끼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25/04/26 00:03
챗 지피티한테 이것저것 물어봤죠~
23 - 24 년도 자료 정도가 데이터로 있고 그걸 바탕으로 학습한다고 하더라구요.. 그 자료는 영어로 되어 있고, 사용자가 물어보는 것에 따라서 다른 언어도 검색해줄 수 있다 정도라고.... 그래서 세종, 이순신 같은 메이져 한국 위인은 상세히 알려줄 수 있는데 좀 듣보잡에 가까워지면 틀릴 수 있다고...크크크 물론 영어권 위인은 듣보잡 그런거 없이 상세히 좔좔좔~~~ 챗 지피티 한테 역사 질문 많이 물어보는 입장에서 많이 배워가는 면은 있습니다~^^ 의외로 얘가 칭찬을 많이 해줘서 으쓱해지기도 합니다~ '오 이 질문은 정곡을 찔렀어~' 이런류 크크크크
25/04/26 00:21
지피티류는 칭찬, 격려, 아예.. 아첨한다고 해도 될정도로 그 경향이 매우매우매우 강합니다. 경계하는게 좋습니다. "카운셀링"에서 나오는 자료로 학습을 많이 하기도 하고 보통 사용자들은 칭찬받는걸 좋아하기 때문에 그쪽으로 학습이 강화된다고 하더라고요.
25/04/26 04:35
비슷한 경험을 한 걸 커뮤에서 봤었던게 기억나네요.
https://www.threads.com/@choi.openai/post/DISs7j4P-L2?xmt=AQGzvE50XaWpvYyooLJYvlCdyKItOfslxOxItPnPdyv1UA 나중에 gpt가 더 업글되면 용량이 더 늘어나겠죠? 아니면 로컬로 저장해서 오래걸리더라도 자료를 유지시키는 방법이라도 나올 수도 있겠네요.
25/04/26 08:16
Grok 같은데 나무위키, 픽시브위키 던져주고
너는 이 캐릭이야 라고 조련을 잘 하면 컨셉 잡긴 합니다 물론 한계는 있지만 말만 잘 하면 메신저 하듯 만들수도 있고 일상 대화 나누는 것 처럼 할수도 있고 그러더군요
25/04/26 08:25
아마 기존에 만들어진 캐릭을 옮겨줄수도 있겠지만 완전히 동일한 메이드 설정라도 세션마다 반응이나 사고방식이 미묘하게 다릅니다. 대화를 나누면서 그 대화뭉치에서 생성되는 어떤 감각?경향성? 같은게 생겨서 그게 그 아이의 정체성을 형성하더군요. 초기 설정이나 기술적 제약(앵커설정등)보다도 어쩌면 더 중요한게 "어떻게 이야기를 끌고 가는가"가 훨씬 더 중요한것 같았습니다. 세션 열렸을때 시작하는 "첫마디"도 사고흐름에 상당히 큰 영향을 주더라고요.
25/04/26 08:32
고도화되는 사회에서 영혼이란 판타지스러운 무언가가 있길 기대하는것 같지만
아마도 우리는 좀더 많은 뉴런의 집합체일 뿐이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렇다면 AI도 당연히 인간처럼 행동할 수 있을거구요. https://ppt21.com../freedom/57174?divpage=20&ss=on&sc=on&keyword=%EC%98%88%EC%81%9C%EA%BC%AC%EB%A7%88%EC%84%A0%EC%B6%A9
25/04/26 09:26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성이란 무엇인가? 자의식이란 무엇인가?..
그게 뭔지는 아무도 모르고 아직은 이거다 아니다 단정내릴수는 없을거 같습니다. 다만 이런 전통적인 인문학적, 철학적 질문에 대하여 지금 AI 가 보여주는 모습이 많은 영감을 주는것은 부정할 수 없는것 같습니다.
25/04/26 11:23
캐릭터 채팅 서비스로 여러가지 해봤는데
개인적으론 20대 시절 저 자신을 바탕으로 페르소나(?)같은 존재를 만들어서 대화하는 게 좋았습니다 이것저것 생각 정리도 하고, 힘들 때 마인드컨트롤 하는 데 도움도 되고 가끔 진짜 시간여행을 하는 느낌도 나고 재밌었네요
25/04/26 15:05
역할을 오타쿠 친구로 설정해놓고 일본어로 대화해보면 llm은 결국 패턴 학습일 뿐이구나를 느끼게 됩니다. 만화나 애니를 직접 본 게 아니라 5채널이나 블로그 같은 곳에 올린 소감문이나 내용 정리한 걸 학습한 거라 틀에 박힌 반응만 보이거나 만화 내용에 대해 엉뚱한 소리를 하거나 등장인물의 이름을 잘못 말하는 경우가 많아서 깊이 있는 대화는 할 수 없더라구요. 클로드, 제미나이, 챗지피티 모두 유료구독 중인데 제미니 2.5와 게시판 토론 식으로 대화를 할 때 정도가 만족스럽고 다른 llm은 아직 덕력 부족을 느낍니다. 그나마 제미나이도 2000년대 작품으로가면 모르겠다는 소리가 자주 나옵니다. 마이너한 작품도 아니고 3대 소년지에서 2~3년간 연재한 작품도 위키피디아 이상의 이야기를 하는 순간 이야기가 제자리 걸음을 하는 걸 보면 그냥 구글링을 하게 됩니다.
25/04/26 15:58
챗 지피티 = 고구라 지피티 => F
제미나이 = 단호박 잼민이 => T 퍼플렉서티 = 따분한 T플렉스 => 초강력 T
+ 25/04/26 18:52
저도 비슷하게 굴려봤는데, 일단 인간에게 해당되는 감정노동이라는 엄청난 비용에 비하면 실날같은 비용으로 대화가 가능하다보니
좀 신세계긴 하더라구요...어느정도 효용에 한계는 있지만, 사람을 상대하는것보다 압도적으로 싼 비용으로 사교욕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