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5 12:44
민주주의 시스템은 10년 이상을 생각하지 않고 할 필요도 없는 시스템이죠
그래서 수십년을 바라보는 정책을 잘 세워도 5년, 10년 후에 다른 사람이 오면서 그걸 엎어버리니 장기적으로 뭘 하는게 매우 어렵죠 그게 현 상황을 만든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 2010년대 스마트폰 이후 SNS와 유튜브 알고리즘이 극단주의를 심화 시켰다고 봅니다
25/04/25 14:13
그런데 웃기게도 시진핑이나 김정은 푸틴이 이끄는 나라들 보면 민주주의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사람들 자체가 문제구나 하는 생각도.....
25/04/25 15:15
민주주의가 10년 이상 미래를 보지 못한다고 해서 독재가 그걸 한다는건 아니니까요
사람들은 백마탄 초인, 위버멘쉬를 바라지만 그건 현실에서 없다고 보는게 맞을 껍니다
25/04/25 18:58
초반에는 좀 잘 하나? 진짜 백마 탄 초인인가? 싶다가 오래 독재하고 나이 먹으면서 꼬라박는 케이스가 역사적으로 수두룩빽빽하죠
고인 물은 정말 썩나봐요….
25/04/25 13:19
달러휴지론을 좋아하지만 그럼 지금 이 시기에 가지고 있는 달러를 어디에 옮길건데?라는 질문을 하면 사실 답은 없습니다. 역사적으로 패권국은 경제도 따라잡히고 국방도 따라잡히고 등등 누가봐도 패권국(진) 에게 따라 잡혀도 단 하나 기축통화와 채권의 수요는 그 이상으로 매우 오랫동안 유지했습니다. 사실 어쩔 수 없는게 그 국가에 투자되어온 자산들의 규모는 하루 아침에 덤핑할 수 있는 자산들은 아니니 말이죠
25/04/25 14:12
저 영상에서 그 부분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달러가 약해지긴 하지만, 그렇다고 대체제는 없어서 다들 계속 고민할 거라고요. 하지만, 대체제가 없다고 해서 달러의 신뢰성이 회복되진 않는다는 거죠.
25/04/25 13:44
우연히 유투브 생방으로 보고 내용이 너무 좋아서 한번 더 돌려봤던 방송이네요.
저 영상 추천합니다. 저도 미국이 꽤 오랫동안 예전같지 않을 거라 믿고, 그 전환점이 바로 이번 트럼프의 관세 이벤트였을거라 생각합니다.
25/04/25 13:48
기축 지위는 트럼프 하나로 흔들릴 일은 아니고 인구만 해도 중국빼면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인도로 면적 자원 인구도 영어권이 압도하고 문화로는 구미권 백인에 다 묶이죠
미국이 패권 놓치고 달러의 기축 지위 잃는일은 아마도 당분간 없을겁니다 그리고 영어 달러 아이비리그 월가 미군 이 다섯개는 글로벌이 잃어버릴수 없고 대체재도 없는 그 잡채입니다
25/04/25 14:35
달러의 패권은 유지될것이죠. 이 영상에서도 달러를 대체할 수 없다고 말하죠. 근데 그힘은 줄어들 수있다고 볼수있죠. 예를 들어 전체 외환보유고중 현재 달러 자산 비중이 100이라고 하면 이게 5퍼만 금,유로,위안등으로 바꾸면 달러의 힘이 95퍼가 되는거죠.
25/04/25 18:06
이미 예전에 다양하게 나온 얘기중 하나입니다. 이 글만 해도 2년이 넘었네요.
https://themarket.ch/interview/russell-napier-the-world-will-experience-a-capex-boom-ld.7606
25/04/25 18:48
영상에서도 지적했지만 바이든이 과거 그리스처럼 느슨한 긴축을 해야할 시기에 타이밍을 놓쳐버린 건 큰 시계열에서 봤을때 제대로 넘어져버린걸로 기억될듯하네요 명목GDP로 부채를 녹인다는 아이디어는 결국 메인스트림을 외면하겠다는 그들의 우아한 위선을 그대로 보여줘버렸고 실각한 다음 거대한 암흑군주를 불러버렸죠
25/04/25 22:32
(수정됨) 명목 GDP로 부채를 녹인다기 보단, 명목 GDP가 크면 더 큰 부채를 감당할 수 있게 되는 거죠. 결국, 금리를 볼땐 GDP대비 부채를 확인하니까요.
바이든때 경기가 좋았음에도 왜 긴축을 하지 않았냐 묻는다면, 바이든때 긴축을 했으면 침체가 찾아와서 긴축을 할 여유는 없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바이든 정부는 초반 1년은 코로나와 싸우다가 잠시 한숨 돌릴 시점에, 인플레이션+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었고, 마지막엔 이스라엘 전쟁까지 엮여버렸죠. 이런 이벤트들을 제외하더라도 경기사이클상 2023년에 미국은 침체를 경험했어야 하는 게 맞는 듯 하고, 그걸 부채로 막긴 했습니다. 당시, 침체를 예측한 수 많은 이코노미스트들의 경기 예측이 틀렸던 건 이례적인 일이었죠. 그 후, 가능성 여부를 떠나, 바이든은 자신의 2기부터 부자 증세를 통해 그 빚을 메울 계획 이었던 거 같고요. 반대로 그럼 긴축 대신 부채로 막은 게 잘한 것이냐하면 그것 또한 잘못되긴 했다고 생각합니다. 바이든 정권은 가볍게 지나갔을 가능성이 높았던 건강한 침체마저도 지나치게 우려했고, 그래서 분명 부채 상황을 악화시킨 건 분명하죠.
25/04/26 00:16
부채를 녹인다는 표현은 금융억압 개념인데 제가 대충 써서 그만..
이미 21년에 정책적 실기를 해버린 상황에서 재선을 위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다 넘어져버린거죠 뭐..금융을 무기로 쓰려다 실패한 또 하나의 사례겠죠
25/04/25 18:08
저도 상당히 재밌게 봤습니다.
미국채 패닉셀이 나오길래 10년물 4.5이상에서 TLT를 꽤 담았는데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영상이네요. AI 요약이 기가막히게 깔끔하게 뽑혀있는데 어떤 사이트인지 여쭤봐도 될련지요?
25/04/26 00:11
이젠 진지하게 국장할 때죠. 갠적으로 하곤 하는 말이, 국장은 너무 쓰레기라 좋아질 폭이 훨씬 크다, 라는 거긴 합니다. 이미 국장을 개선해야한다는 명제 자체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되어 있기도 하구요. 원화가치도 차차 상승할 거라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