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9/02/20 13:28:22
Name 불같은 강속구
Subject (09)[서양화 읽기] 비슷한 것은 가짜다

추상회화의 탄생


Photobucket
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IV ,1911, Oil on canvas, 159.5 x 250.5cm,
unstsammlung Nordrhein-Westfallen, Dusseldorf

바실리 칸딘스키는 어느 날 밖에 나갔다 돌아와 생각에 잠긴 채 화실 문을 여는 순간 놀랍도록 아름다운 그림을 발견하고 깜짝 놀라게 됩니다. 알 수 없는 대상이 그려져 있는 그 그림은 가까이 다가가 살펴보니 이젤 위에 옆으로 눕혀 놓은 자신의 그림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단 실체를 파악하고 나서는 처음 느꼈던 불가사의한 아름다움은 사라졌습니다. 그는 이 체험을 통해 그림에서 객관성이라던가 어떤 대상의 묘사는 불필요할뿐더러 방해가 된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화면에서 대상을 제거해 버리는 추상회화로의 발걸음을 내딛게 되는 순간이었죠.

Photobucket      Photobucket
Wassily Kandinsky                                                                   Wassily Kandinsky
Improvisation 7                                                                         On White II
1910, Oil on canvas, 131 x 97 cm, Tretyakov Gallery, Moscow      1923; Oil on canvas, 105 x 98cm;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추상과 표현

카메라의 등장이후 화가들에게 사물의 정확한 재현이라는 오랜 목표는 의미 없는 일이 되어버렸고 현실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원리들도 이미 다 실험을 끝낸 상태였죠.  인상파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했던 세잔 이후 현대회화는 고전적인 회화를 지탱하던 기본적 전제들을 하나하나 해체해 나가면서 발전했습니다. 사물의 대상성을 버리고 추상화가 , 고정된 시점과 사물의 형태를 해체하고 입체파가, 대상이 가진 고유의 색을 해방시키고 야수파가 등장했습니다. 이들 미술사의 각 흐름에는 모두 원근법의 무시와 평면화라는  공통점이 있었고 무엇보다 현실의 모방과 재현은 더 이상 화가들의 관심사가 아니었습니다.

칸딘스키는 외계의 재현을 완전히 거부할 경우 예술이 단순한 장식과 구별되는 걸 막기 위해서는 예술가의 감동에 바탕을 둔 내적 필연성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에 의하면  예술 작품은 예술가의 혼이 느낀 감동을 감각을 통해 작품으로 조형화하고 관객은 그 작품을 자기의 감각으로 받아들여 예술가가 느꼈던 감동을 체험하는 전달구조를 취해야 합니다. 이런 쌍방의 감동을 통해 예술은 단순한 장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표현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그 표현이 외계의 사물을 재현하고 있는지는 이미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그는 마치 음악에서 음률이 현실의 구체적인 소리를 재현하고 있지 않더라도 듣는 이의 영혼에 호소할 수 있듯이 점, 선, 면 과 같은 회화의 기본요소만으로도 직접 보는 사람에게 감동을 전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그의 추상예술의 이론적 근거입니다.

피에트 몬드리안은 사물을 추상화하면 그것의 감추어진 본질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Photobucket

Photobucket

Photobucket

몬드리안의 나무 연작인데 형태가 단순해지면서 추상화되고 사물과의 유사성이 사라지는 과정이 보입니다.
아래 그림은 리히텐슈타인이 보여주는 추상화의 과정입니다. 형태의 단순화를 통한 추상뿐 아니라 공간자체를 파편화하고 단순화하여 추상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Photobucket

Photobucket

Photobucket
Roy Lichtenstein
Study for ´Cow Tryptich (Going Abstract), 1982

이런 과정을 통해 몬드리안의 기하학적 구성 작품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피카소나 브라크 같은 입체파화가들은 완전히 대상을 떠나 추상적인 구성을 시도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대상을 해체하고 다시 화면에서 재구성하는 큐비즘의 기본원리가 몬드리안의 차가운 기하학적 추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죠.

Photobucket    Photobucket
Piet Mondrian                                                                     Piet Mondrian
Composition with Yellow, Blue and Black, 1924-25,               Lozenge Composition with Red, Gray, Blue, Yellow and Red, 1937-42
oil on canvas, 77 x 77cm,  Tate Gallery, London                   Oil on canvas, 72.5 x 69 cm,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칸딘스키의 추상주의가 예술가의 영혼의 반영이며 내적필연성의 표현이었던데 반해 몬드리안의 추상주의는 조형 요소 자체에서 자율적인 법칙을 찾아내려는 것이었습니다. 몬드리안은 기하학의 공리를 연상시키는 기본원리를 통해 모든 조형표현을 통일하고 ‘순수한 색과 선의 순수한 관계’에 의한 ‘순수한 아름다움’을 실현하고자 했으며 스스로 '신조형주의'라 명명했습니다. 우리는 추상주의의 두 대가인 칸딘스키와 몬드리안의 이런 차이를 각각 뜨거운 추상이니 차가운 추상이니 하면서 구별하곤 합니다.

Photobucket     Photobucket
Piet Mondrian                                
Composition II in Red, Blue,and Yellow,1930

Photobucket    Photobucket
Piet Mondrian,                                                                       Piet Mondrian,
Broadway Boogie Woogie                                                       New York City, 1941-42
1942-1943,Oil on canvas, 127 x 127 cm                                     1941-42 , Oil on canvas, 119 x 114 cm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Musee national d'art modern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왼쪽은 몬드리안의 대표작 브로드웨이 부기우기입니다.  그는 뉴욕이 가진 다이내믹하고 왕성한 에너지와 화려함을 좋아했습니다. 도시의 야경속 네온사인 같은 화려한 리듬이 느껴집니다.  

아래에 보이는 카지미르 말레비치의 그림은 추상성을 더욱 밀어붙인 작품입니다.

Photobucket     Photobucket
Kasimir Malevich,                                                                   Kasimir Malevich,
Black Square                                                                          Black Circle
1923, Oil on canvas, 106.2 x 106.5 cm                                        Oil on canvas, 105.5 x 105.5 cm
State Russian Museum, St. Petersburg                                      State Russian Museum, St. Petersburg
사각형과 원을 통해 형태의 단순화를, 검은색과 흰색을 통해 색채의 단순화를 이루었고 결국 추상의 극한점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Photobucket                           Photobucket
Kasimir Malevich,                                                                  Kasimir Malevich,
Black Square and Red Square                                                 Suprematism: Self-Portrait in Two Dimensions
1915, Oil on canvas,71.4 x 44.4 cm                                          1915, Oil on canvas, 80 x 62 cm.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Stedelijk Museum, Amsterdam

그리고 여기서 더 나아가 이제는 캔버스 전체를 하나의 색으로 환원해버리는 모노크롬까지 등장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은 이브 끌랭이라는 예술가가 스스로 개발했다며 I.K.B(International Klein Blue)라 부르는 파란색을 사용한 모노크롬입니다. 추상의 극한으로 캔버스에서 모든 것이 다 사라지고 색채만이 남았습니다.
Photobucket
Yves Klein
Untitled blue monochrome (IKB 82), 1959.
Dry pigment in synthetic resin on canvas, mounted on board, Solomon R. Guggenheim Museum

또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는 잭슨 폴록과 마크 로스코로 대표되는 추상표현주의가, 유럽에서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앵포르멜(Informel, 비정형)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Photobucket
Jackson Pollock
Number 8,  
1949, Oil, enamel, and aluminum paint on canvas; Neuberger Museu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미국의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잭슨 폴록은 화가에게서 물감을 해방시킨다며 캔버스를 바닥에 놓고 물감을 흩뿌리거나 이동하면서 떨어뜨리는 식으로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화가의 의지에서 독립시켜 우연에 맡기는 방법입니다. 물감뿌리기를 통해 표현의 극한을 추구한 것이죠. 그래서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이라고도 불립니다.  

마크 로스코의 경우는 색채를 통한 순수하게 추상적이며 사색적인 느낌을 주는 작품들로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을 탐구하는 색면추상의 세계를 선보였습니다.
Photobucket     Photobucket
Mark Rothko                                                                           Mark Rothko
Untitled                                                                                  Untitled (Violet, Black, Orange, Yellow on White and Red)
1955,  the National Gallery of Art                                               1949. Oil on canvas,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차 대전 후 프랑스에서 기하학적 추상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엥포르멜은 충동적이고 격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벽에 시멘트를 바르는 것처럼 물감을 화면에 두껍게 발라 마띠에르(질감)만 남기기도 합니다.  
Photobucket
Jean Fautrier
Body and Soul, 1957, Gift of The Glenstone Foundation


Photobucket
Joan Miró.
Blue II. 1961. Oil on canvas. 270 x 355 cm.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France
단순한 색과 형태를 통해 초현실주의 미술을 선보였던 호앙 미로의 작품입니다.
블루3부작중 2번째 작품인데 퐁피두센터 특별전으로 이번에 한국에 왔습니다. 전시일정이 3월22일까지인데 오래전에 표를 구해놓고도 아직 못 갔습니다.  빨리 다녀와야 겠네요. 저 대형캔버스에 펼쳐진 눈부신 블루를 볼 생각을 하니 설레입니다.





추상화, 어떻게 볼 것인가?

칸딘스키가 추상화의 문을 열어젖힌 후에 많은 예술가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현대추상미술을 전개해왔습니다. 현대미술은 과거 고전적인 표현방법으로 제작된 작품들에 비해 난해한 것이 사실입니다. 저런 그림들을 볼 때 마다 도대체 뭘 그린거야 하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죠. 그렇다면 우리는 추상미술을 만날 때 어떻게 맞이해야 할까요?
저 같은 사람이 횡설수설 하는 것보다는 조선 후기의 지성을 대표했던 연암 박지원선생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보고자 합니다. 뚱딴지 같이 서양화얘기를 하다가 왜 옛 선비를 모셔오냐고요?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소개할 글은 연암의 불이당기(不移堂記)인데, 이야기속에 이야기가 들어있고 그 속에 또 다른 이야기가 포함된 중층 액자구조로 되어있어 좀 복잡합니다. 한양대 정민 교수님의 책 <비슷한 것은 가짜다 - 연암 박지원의 예술론과 산문미학>에 나오는 글입니다. 그대로 소개하자니 너무 길어서 요약해봤는데 그 의미가 충분히 전달될지 자신이 없네요.

-------------------------
연암의 친구 하나가 죽원옹(竹園翁)이라 호를 짓고, 집에는 불이당(不移堂)이라는 편액을 걸고는 연암에게 그 기문을 지어달라고 청했습니다. 연암이 그 집에 가보니 대나무 동산은커녕 한그루의 대나무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연암은 그 명실상부하지 않음에 대해 물었고 친구는 그저 대나무 같은 절개를 지니고 변치 않을 정신을 지켜가고 싶어 그리 정했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연암은 대나무 하나 없는 집에 사는 ‘죽원옹’과 어떤 역경에도 옮기지 않을 뜻을 기르는 ‘불이당’을 위해 자신의 처숙부 되는 이양천(李亮天)의 이야기를 해줍니다.

어느 날 이양천이 매화에 관한 시를 짓고 그 앞머리에 얹기 위해 당대의 유명화가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보냈는데 얼마 후 돌아온 그림을 보고 매화와 너무 똑같이 그렸다면서 불평하더랍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암은 사물을 똑같게 그렸다면 훌륭하다 할 것이지 어찌 비웃냐고 물었습니다. 이에 이양천은 연암에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해줍니다.

한번은 이양천이 시,서,화에 능했던 이인상(李麟祥)이라는 사람에게 그림을 부탁한 적이 있었습니다. 두보(杜甫)의 시 <촉상(蜀相)>에 나오는 제갈공명 사당 앞의 잣나무를 그려달라는 주문이었죠.  그런데 얼마 후에 이인상은 전서체로 중국의 시인 사혜련(謝惠連)의 <설부(雪賦)>를 써서 보내왔습니다.  이상히 여긴 이양천은 왜 잣나무를 그려주지 않았냐고 물었고 , 이인상은 잣나무는 이미 그 <설부>속에 있다고 말합니다. 바람서리 모질고 온갖 초목들이 다 시들어 버린 모진 추위 속에서도 푸르름을 변치 않는 것은 오직 잣나무 뿐이니 잣나무를 그 눈 속에서 찾아보라고 말이죠.  이에 이양천은 글씨속에 숨어있는 잣나무를 보라니 그가 말하는 그림의 도라는 것이 자뭇 황당하다며 불평을 했습니다.

이후 이양천이 죄를 짓고 위리안치의 벌을 받아 귀양을 가는데 사약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날은 춥고 눈이 펑펑 내려 앙상한 나무와 무너진 벼랑이 자꾸만 길을 막아 험난한 길을 가고 있었습니다. 그때 바위 앞에 늙은 나무가 거꾸러져 가지를 아래로 드리웠는데 그것이 이양천의 눈에는 이상하게도 대나무처럼 보였습니다. 그제서야 이양천은 예전 이인상의 그림생각이 나면서 그가 써준 잣나무가 바로 이런 경계가 아닐까 깨달았답니다. 그렇게 눈보라속에서도 꼿꼿한 대나무의 절개를 만나게되자 호연지기가 발동하였고, 나중에 험한 흑산도 유배지에서 태풍이 불어 모두가 무서워하는 와중에도 옥루에 계신 임금께서 춥지 않을까 걱정하는 시를 담담히 읊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얼마 후 이양천이 세상을 뜨고 연암이 처숙부인 그의 문집을 엮으려고 원고를 정리하다가, 편지 하나를 찾아냅니다. 자기의 석방을 탄원하는 움직임이 있자, 바닷가에서 썩어 죽을망정 청탁하여 구차하게 목숨을 빌지는 않겠다는 내용이었죠. 이에 연암은, 선비가 궁하게 되면 평소 품은 본바탕이 드러나는 법인데 이양천이 환난 속에서도 절조를 변치 않고 뜻을 굽히지 않은 것은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드러나는 눈 속 잣나무의 푸르름과 같다고 감탄했다고 합니다.

연암은 이야기를 마치며 친구에게 그대는 참으로 대나무를 아는 사람이구나,  대나무 한 그루 없이도 그 가슴 속에 대나무를 지니고서 상황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 불이(不移)의 기상을 지킨다면 죽원옹을 일컫기에 부끄러움이 없으리라는 말을 해줍니다. 그리고 넌지시 한마디를 던지죠. 여보게, 추운 겨울이 되면 내 장차 자네 집에 올라보고 동산을 거닐면서 눈 속에서 대나무를 구경해도 좋겠는가?
-----------------------------------

정민 교수님은 이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평합니다.

대나무 집에 살면서 호를 죽원옹이라 하는 것은 매화를 쓴 시를 보고 매화 그림을 그린 것과 같은 것이다. 하등 이상할 것도 없고 신기할 것도 없다. ~~~ 형체를 보고 사실과 꼭 같게 재현해 내는 것은 손끝의 재주만으로도 충분하다. 그것은 다만 형사(形似)일 뿐이다. 그러나 천지 가득한 눈 속에서 홀로 푸르름을 간직하고 서 있을 승상 사당 앞의 잣나무를 떠올릴 수 있다면, 그는 마음으로 잣나무를 그려낸 것이니, 이것은 분명 심사(心似)가 된다. 연암은 이양천의 입을 빌어 그것을 ‘몰골도(沒骨圖)’ 로 표현한다. 뼈대가 없고 보니 형체도 없다. 그러나 그 몰골무형(沒骨無形) 속에 그림의 참 정신이 깃들어 있다.
연암은 이렇게 말한다. “좋은 그림은 그 물건과 꼭 닮게만 하는 데 있지 않다. 정신이 깃들어 있지 않고는 훌륭한 그림이랄 수 없다. 잣나무를 그리려거든 잣나무의 형상에 얽매이지 마라. 그것은 한낱 껍데기일 뿐이다. 마음 속에 푸르른 잣나무가 서 있지 않고는, 천 그루 백 그루의 잣나무를 그려 놓더라도 잎 다 져서 헐벗은 낙목과 다를 바가 없다. 정신의 뼈대를 하얗게 세워라. 마음의 눈으로 보아라.”  


어떻습니까? 앞서 이야기했던 추상화에 대한 칸딘스키의 정신과 상통하지 않습니까. 연암이 말한 형체없는 몰골도는 서양화로 말하면 추상화에 비할 수도 있겠죠. 껍데기는 중요하지 않다. 그 안에 담겨 있는 정신의 실질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연암은 또 녹천관집서(綠天館集序)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대저 어찌하여 비슷함을 구하는가? 비슷함을 추구한다는 것은 진짜는 아닌 것이다. 천하에서 이른바 서로 같은 것을 두고 반드시 ‘꼭 닮았다’ 고 하고, 구분하기 어려운 것을 또한 ‘진짜 같다’ 고 말한다. 무릇 진짜 같다고 하고 꼭 닮았다고 말할 때에 그 말 속에는 이미 가짜라는 의미와 다르다는 뜻이 담겨 있다. ~~ 마음이 비슷한 것(心似)은 뜻이고, 겉모습이 비슷한 것(形似)은 피모(皮毛)일 뿐이다.”  

윗 글은 고문을 답습하여 모방하는 사대부들의 글쓰기에 대한 일침이지만 그림그리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연암은 자기의 말과 뜻이 아닌, 옛 성현들의 글을 모방하여 짓는 글이 어찌 생명력이 있을수 있는가를 일관되게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그런 연암이라면 기존의 그림그리기 방식을 답습하여 사물의 재현을 추구하는 그리기는 이제 하고 싶지 않다는 현대화가들의 심정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지 않았을까요?

예술에 있어 ‘고심(苦心)’ 이란 작가의 고민과 현실에 대한 입장, 삶과 세계에 대한 감정을 두루 포괄하는 말입니다. 예술가는 바로 이 고심 때문에 창작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음악의 , 글의 , 그림의 가장 밑바닥에 놓여진 작가의 고심을 읽어 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렇다고 연암의 글을 들어 제가 말하고자 한 취지가 작가가 그림을 그릴때의 심정과 작가만이 가졌던 느낌을 똑같이 찾아내야 한다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작가가 마주한 세계와 우리 각자가 대면하는 세계는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작가의 진정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을때 서로의 진심은 통하지 않을까요. 그런 노력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으로 한 작품을 이해한다면 그 작품은 온전히 자신의 사유속으로 녹아들겁니다. 바로 그것이 작가의 의도일 것입니다.  

칸딘스키는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옅은 파랑은 플루트와, 짙은 파랑은 첼로와 비슷하다. 더 짙은 파랑은 콘트라베이스를 연상시킨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말해 파랑은 파이프오르간의 저음부의 울림과 닮았다.”
Photobucket
Wassily Kandinsky
Yellow, Red, Blue
1925, Oil on canvas, 127x200cm;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Photobucket
Wassily Kandinsky
Composition VIII
1923 , Oil on canvas, 140 x 201 cm ,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어떤가요? 칸딘스키가 점, 선, 면 으로 작곡한 교향곡이 들리십니까?
* OrBef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09-14 22:2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천상비요환
09/02/20 13:57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덧붙여 저는 마네를 정말 좋아하는데, 인상주의에 대해서도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_
09/02/20 14:24
수정 아이콘
아주 흥미롭네요. 마음의 눈이라고 하는 개념을 어렴풋이 알 것 같군요.
불같은 강속구
09/02/20 14:24
수정 아이콘
천상비요환님// 마네는 인상파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기는 합니다만 엄격히 말하면 인상주의 화가는 아닙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저따위가 그런걸 평가할 깜냥이 되겠습니까만.... 권위자 분들의 경우도 쿠르베 같은 사실주의 화가라고(미술사조라는 것이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들긴 합니다) 평가하기도 합니다. 마네는 인상파 전시회에 한번도 참여한 적이 없었고, 그의 대표작들을 봐도 인상주의 기법을 열성적으로 추구하지도 않았습니다. 인상파화가들과 많은 교류를 하면서 영향을 준것은 분명 사실이지만 본인 스스로가 인상파운동을 꾸준히 전개할 생각이 없었으니까요. 뭐 엄격하게 본다면 거의 실내에서 작업하던 드가같은 경우도 모네나 피사로 같은 정통 인상파 화가들과는 달랐고 인물화를 주로 그리던 르느와르도 그 한계를 느껴 후기에는 인상파에서 벗어났긴 했습니다. 굳이 시험문제에서 마네가 인상파냐 아니냐고 묻는다면 인상파라고 해야겠죠.
인상파에 대해서는 조만간 써보려고 합니다.
아래는 우선 제가 전에 질문게시판에서 답변한 내용인데 가져와 봤습니다.

---------------------------------
pgr에 미술관련글을 몇편 썼지만 인상파에 대해서 한번 얘기해보려는 생각은 있었는데 여러가지 바빠서 요새 몇달간 글을 올리지 못했네요.자세히 얘기하면 한도 끝도 없으니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종래의 회화관에서는 사물은 명암의 변화를 보일 뿐 각각 고유의 색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런데 인상파화가들은 태양빛 아래의 자연의 사물들은 빛의 작용으로 인해 색의 변화가 생긴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 빛의 작용을 색의 세계로 바꾸었습니다.
http://www.the-athenaeum.org/art/full.php?ID=3521
이 작품을 보면 흰 드레스에 파란하늘빛이나 붉은 꽃색깔이 비춰지고 있죠. 흰옷은 어디까지나 흰색이어야 한다는 당시 사람들에게 이것은 쉽게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http://cgfa.sunsite.dk/renoir/p-renoir16.htm
이 작품에 대해 벗은 여인의 몸에 떨어진 빛의 반사를 이해하지 못한 못한 비평가가 시반이 생긴 시체같다는 비난을 하기도 했습니다.
인상파화가들은 그런 회화의 관습에서 벗어나 순수한 감각의 세계를 추구했습니다. 대상의 고유한 색채를 부정하고 있는 그대로 그들의 눈에 비춰진 자연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분투했던 것이죠.
그래서 그들은 미묘한 태양빛의 반짝임을 살리기 위해 광학이론을 토대로 특수한 기법을 사용했는데 그것이 유명한 인상파의 '색채분할'입니다. 원색을 주로 사용하면서 필요에 의해 색을 만들때는 어두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물감을 파레트위에서 섞지 않고 섞어야 할 색을 따로따로 작은 터치로 화면에 병렬시킨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조금 떨어져서 볼때 개개의 터치는 사라지고 전체가 섞여서 보이게 되죠. 그런데 색을 서로 섞어서 만든 것이 아니고 각각의 색을 유지하면서 병치시킨것이기 때문에 밝기가 유지되는 겁니다. 각각의 물감에서 나오는 색의 빛이 망막혼합으로 인해 눈속에서 섞이는 것이죠.
또 당시 주류 화단을 점령하고 있던 신고전주의에서 중시하는 엄중한 구도와 정확한 소묘를 통한 뚜렷한 윤곽에서 탈피하여 사물의 형체를 뭉개듯이 그려나갔습니다. 구름에 가려진 해가 다시 나올때, 바람이 수면을 가르고 지나갈때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의 변화를 담아내기 위해서는 빠른 붓질로 물감을 칠해나가야 했죠. 인상파의 이런 붓터치는 당시 비평가들에게 마무리도 없이 대충 되는대로 그려낸 엉성한 작품이라는 인식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어떤 비평가는 모네의 이 그림을 보고
http://www.artrenewal.org/asp/database/image.asp?id=18625
내가 저 길을 걷고 있으면 형태가 뭉개진 점들로 보이냐고 비아냥 거렸던 거지요.

이 인상파라는 이름은 이들이 모여 제1회 그룹전을 열었을때, 모네의 <인상-해돋이> 라는 그림을 보고 한 비평가가 인상주의자들의 전람회라고 비난과 조소를 담은 비평을 한데서 유래한 것입니다.
바로 이 유명한 그림이죠.
http://www.ibiblio.org/wm/paint/auth/monet/first/impression/sunrise.jpg
인상주의자들은 좀 과격하게 말하면 사물이 아니라 빛을 그리려 했기 때문에 이를 계속 밀어붙일 경우 대상 자체의 '사물성'이 사라진다는 한계를 느끼게 되었고 풍경화보다 인물화를 좋아했던 르느와르 같은 경우는 바로 그런 점때문에 나중엔 인상파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인상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세잔, 고흐, 고갱등이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했고 이들을 일반적으로 후기인상파(post-impressionist,후기라기보다 탈인상파라는 말이 더 좋을듯)로 부릅니다. 또 과학적인 색채이론을 통해 인상파의 색채분할을 극한으로 밀어붙인 듯한 점묘화법을 선보인 조르주 쇠라를 신인상파라고도 부릅니다.
인상주의운동은 사물의 정확한 재현이라는 회화의 도그마를 깨고 근현대 미술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현대회화의 출발점을 세잔으로 볼때, 세잔도 인상파운동에 참가하였고 그 극복을 통해 현대미술에 넓고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현대미술로의 전환점은 인상주의에서부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대표적인 인상파 화가들로는 모네, 피사로, 르느와르, 시슬레, 드가 등을 꼽습니다. 여성화가로는 베르트 모리조가 있고요. 대표작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작품을 찾아보시면 모니터화면만으로도 인상파의 화풍이란 이런것이구나 눈에 확 들어오실겁니다.
-------------------------------------

마네에 대해서는 제가 쓴 다른 주제의 글에서 잠시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https://ppt21.com../zboard4/zboard.php?id=freedom&page=1&sn1=&divpage=2&sn=off&ss=on&sc=on&keyword=서양화&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945
밑으로 죽 내리시면 8번 항목에 잠시 나옵니다.
마네에 대해서는 나중에 피카소의 모작과 관련해서 같이 보려고(예전부터 계획은 있었으나;;;;;) 합니다.
천상비요환
09/02/20 15:16
수정 아이콘
불같은 강속구님// 우와우와 +_+ 정말 감사드려요!!!!!!!!
언니가 미술을 해서 어렸을 때부터 전시회에 랄랄라 하고 다니기만 했지,
지식은 별로 없었는데 ... +_+ 마네와 피카소 모작 기대할게요~!!
밑힌자
09/02/20 15:21
수정 아이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저도 정말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여기서 또 보니 반갑네요... 크크.
오름 엠바르
09/02/20 16:27
수정 아이콘
로스코 좋군요, 로스코 -///-
실제로 보면 감동 받아서 울게 된다던데 한국에서 전시회 다시 안할라나 궁금하네요 ㅠㅠㅠㅠ
홍승식
09/02/20 21:01
수정 아이콘
이거이거 어째 종종 불같은 강속구님 소환글도 보일것 같습니다. ^^
너무 재밌네요.
다른 글도 계속 써주세요.
09/02/20 21:18
수정 아이콘
와 :D 즐겁게 읽고갑니다.
작가들이 소통하고자하는 본질, 진리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09/02/20 21:24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었습니다. 다음 글이 기대되네요.
09/02/21 01:58
수정 아이콘
진짜진짜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아우디 사라비
09/02/21 11:4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아주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09/02/21 13:51
수정 아이콘
매번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겠습니다.
플레이아데스
09/03/30 20:38
수정 아이콘
잘 읽고 갑니다!!^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23 (09)2009 본격 스덕들을 위한 서사시 - 신상문, 버티컬 리미트를 넘어 [14] becker7293 09/04/12 7293
1422 (09)Best Highlight of 2007 Starcraft [33] 램달았다아아8329 09/04/11 8329
1421 (09)김연아 월드 도전기 [16] 김연아5748 09/03/29 5748
1420 요즘 라면은 왜 예전같은 맛이 나오지 않는가 & 라면 맛있게 끓이는 팁. [24] 凡人8183 11/09/18 8183
1419 그 때 그 날 - 미래 (1) 팔자흉언, 최후의 승자 [8] 눈시BB3866 11/09/18 3866
1418 bar와 음악 [15] 헥스밤5159 11/09/16 5159
1417 (09)입스타하기 미안해질때 [10] becker8464 09/03/29 8464
1416 (09)zhdRkwlak [50] ■유유히8509 09/03/24 8509
1415 (09)KTF와 SKT T1, 그리고 테란이라는 키워드로 보는 영욕의 역사 [21] 거품7098 09/03/15 7098
1414 15렙 초보가 이야기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LOL)의 오해와 진실. [50] DEICIDE8199 11/09/16 8199
1413 내가 처음 봤던 가을의 전설이 프로게이머가 되고서도 아직 남아있다 [12] Ace of Base7080 11/09/14 7080
1412 허영무 반드시 우승해라. 웃으며 그 죄를 논하리라. [32] 비내리는숲9911 11/09/13 9911
1411 이제 bye bye 엠겜의 Top10 명장면들.. [21] 은하수군단7400 11/09/10 7400
1410 남자 셋, 여자 셋 [14] 순욱8228 11/09/16 8228
1409 (09)아직 죽지 않았음을 증명하라. [14] 블레이드6416 09/03/06 6416
1408 (09)So1 <3> [19] 한니발8114 09/03/07 8114
1407 (09)컴백 스페셜 - 한국 호랑이는 과연 어디에 있을까? - [49] 9051 09/02/21 9051
1406 그 때 그 날 - 과거 (1) 아버지와 아들 [12] 눈시BB3453 11/09/14 3453
1405 크롬에서 나눔글꼴 설정 [37] 금시조131267M7650 11/09/14 7650
1404 한국에서 고졸로 취업하기 (만화 첨부) [14] SNIPER-SOUND11194 11/09/14 11194
1403 (09)[서양화 읽기] 비슷한 것은 가짜다 [13] 불같은 강속구9580 09/02/20 9580
1402 (09)스타리그 부흥을 위한 궁극의 대안, 주7일제. [28] 애국보수6552 09/02/07 6552
1401 (09)연쇄살인범의 연쇄살인범, 덱스터(Dexter)와 세 편의 영화. [40] DEICIDE8318 09/02/04 83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