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23 10:54
아래 논문에서도 단변량 회귀분석에서 아시안 혈통이 휘도 인식능력(CS)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나오긴 합니다. 다변량에서는 유의하게 나오지 않아서 자세히 논의되진 않았는데요.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인종이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는 반론을 지지하는 근거로 사용 가능한 연구는 아닙니다. 연구설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하게 나올 수도 있을 거 같아요.
25/02/23 10:59
휴.. 제가 이상한게 아니었군요.
게임에서 제안한대로 로고가 살짝만 보이도록 조정하면 게임안에서 어두운곳은 뭐가있는지 분간이 안돼서 훨씬 밝게 설정 해 왔어요.
25/02/23 12:41
홍채색이 옅으면 빛에 민감해서 눈부심이 심함
-> 빛이 적은 어두운 곳에서도 더 민감하게 반응해서 잘 보임 이런거 아닐까요?
25/02/23 11:45
최근 본 영화 중에 베테랑2, 베놈라스트댄스가 티비로 봐서 그런지 화면이 너무 어두워서 색감 조정 등이 잘못된줄 알았네요. 넷플릭스 시리즈 깔끔화사한 화면이랑 차이가 너무 심해서 보기 짜증을 넘어 못 볼 수준이었습니다.
25/02/23 12:11
오 놀랍네요. 윗분들 말씀대로 저도 영화톤이 너무 어둡게 느껴지만 짜증이 나는데.. 생각보다 그런 영화들이 많아서 아니 사람들은 어떻게 보는거야 진짜.. 했는데 본문의 내용이라면 정말 일리가 있네요.
25/02/23 13:42
그래서 독일에서 병아리 감별사하는 사람들은 다 동양인들 밖에 없다고 하는 걸 본 적이 있네요.
아주 밝은 빛에서 병아리를 비춰서 생식기를 구분해야 해서요.
25/02/23 15:36
개인적으로 집안의 밝기 자체에 차이도 좀 있는듯 합니다. 쨍쨍한 형광등이 익숙한 한국에 비해 유럽이나 미국은 집안 조명이 많이 어두워 상대적으로 어두운 화면이 잘 보이는 편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