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8/06 21:48:40
Name VictoryFood
File #1 2021_건강보험주요통계(hwp,_xlsx).zip (796.7 KB), Download : 47
File #2 1.png (580.4 KB), Download : 7
Subject [일반] 의료비 관련 통계를 알고 싶습니다. (수정됨)


아래 논의에 참가하면서 의료비 관련된 기본 통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국민건강보험에서 기본통계를 공개하고 있더군요.
위 그림은 아래 링크에서 참고해서 그림 하나로 합쳤습니다.
마지막 그림은 건강보험주요통계의 종별 진료실적 자료에 본인부담율과 비중만 추가했습니다.

건강보험 총 진료비 90조원 돌파...빅5 급여비는 4.5조원 넘어
https://m.medigatenews.com/news/267450411

건강보험 재정 및 급여율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3

2021 건강보험주요통계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c06400m01.do?mode=view&articleNo=10816345&article.offset=0&articleLimit=10

그런데 단순 합계 통계만 나와서 이것만 보고 뭘 봐야하는지 좀 갑갑했습니다.

제가 궁금했던 것은
흔히 기피과라고 하는 바이탈과의 수가가 얼마나 적은지,
전체 의료비 중에서 그런 바이탈과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중증환자 의료비와 경증환자 의료비의 비중은 어떻게 되는지,
중증환자의 본인부담율과 경증환자의 본인부담율은 어떻게 되는지
등등의 자료를 알고 싶었거든요.

위 그림에서 의료기관 종별 진료비와 본인부담율을 계산해 넣은 것도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환자가 더 많을테니 다른 병원에 비해 입원 환자의 경우 본인부담율이 낮아야 하고 외래 환자의 경우 본인부담율이 높아야 하는게 아닐까 생각해서 였습니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수술을 하고 입원을 했더라도 퇴원 후 외래가 필요하면 일반 병의원으로 전원해서 관리하는 식으로 해야 상급종합병원의 로드가 줄고 보다 더 중증 치료에 집중할 수 있을테니까요.
그럴려면 상급종합병원은 외래 본인부담율이 아주 높아야 하고, 병의원은 외래 본인부담율이 꽤 낮아서 퇴원 후 환자가 저 집 근처 병원에서 외래 다니고 싶습니다 라고 해야하지 않을까 해서요.
(이게 의료적으로는 맞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요.)

샘영보험회사가 흔히 보험 가입하라고 하면서 말하는 주요 병명 기준 의료비 총액과 본인부담금이라도 나오나 했는데 그런건 못 찾겠더라구요.
그게 있어야 진짜 우리 의료비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추가로
인구 10만명당 과별 필수 의료 인력과 각 지자체별 의료 인력은 어떻게 되는지,
의료기관 기준이 아닌 환자 주민등록 기준 진료회수, 진료비 현황은 어떻게 되는지,
지자체별 주민등록 기준 환자가 타 시도 상급종합병원으로 원정 진료를 간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등등의 자료도 궁금하구요.

그런 자료가 공개가 되어야 필수 의료에 들어가는 돈이 많다 적다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전체 의료비만 떡하니 나오고 의료비가 올랐으니 건강보험료 올립시다 하니 아이고 당연히 올려야지요 할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2021년 기준으로 1년에 전체 의료비가 100조원이나 되는데 이 돈이면 흔히 말하는 기피과에 돈을 퍼주고도 남을 거라고 봅니다.
그러나 이런저런 이유로 기피과에는 충분한 돈이 들어가지 못하고 다른 곳에 쓰이는 것도 꽤 되겠죠.
감기 같은 경증 치료에는 들어가는 돈을 줄이고 기피과에 돈을 더 주자 하는 주장은 많이 하잖아요.

왜 외국에서는 감기에 걸리면 1차진료하는 의사가 처방전에 약이 아니라 일주일 휴식을 적어 준다는 얘기도 있었잖습니까.
우리도 감기에 걸렸을 때 의사의 진료 본인부담율을 낮추고 처치료나 약의 본인부담율을 대폭 높이면 주사나 약을 처방하기 보다는 휴식을 처방하는 비중이 높아지지 않을까요?

수가를 정하는 것은 정부겠지만 그 수가를 정할 때의 기초 평가 자료 같은 건 결국 의사들(학회)이 만드는 거잖습니까.
의사 내부적으로도 알력이 있겠지만요.

우선 전체 의료비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좀 공개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보험료 상승 없이 수가 조정만으로 해결이 되는지 보험료를 상승해야 하는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6 22:04
수정 아이콘
알려고 하실 수록 복잡해 질거에요. 심평원도 그런게 싫으니 포괄로 퉁치고, 술기에 대한실비도 행위로 퉁치고 하죠
차랑 포 떼고 조금 과장해서 행위에 관한 코스트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것 보다 엄청 고가 입니다
이건 원래 소모품이 비싼 이유가 거의 다 입니다. 한국의 수가에 인건비란 존재하지 않으니까요(왜냐면 월급을 받기 때문이고, 월급은 어디서 오는지는 모르겠지만요)
내가 이 약으로 치료 받았어의 약값은 납득하시는데, 그 약을위해 주사기 바늘 소독 루트 반창고 장갑 등등.. 드는 비용도 의료용은 일반 가정상비약에 비해 비싸고
그주사를 시행하는 위한 행위의 가격 등은 생각 안하거나 하는 경우도 많고 기타 소모품등등도 무심한 경우가 많죠. 하나 더 주세요. 더 길게 붙혀주세요.. (그런게 센치단위로 돈이 매겨지는걸 아는지 잘 모르겠지만.. 그래서 그때문에 거의 최저가로 매겨지지만)
VictoryFood
22/08/06 22:16
수정 아이콘
그런 미시적인거 말고 거시적인 거요.
1년동안 암으로 치료한 의료비 전체와 감기로 치료한 의료비 전체가 얼마가 되는지 알고 싶다는 겁니다.
우리나라 1년 의료비가 100조원인데 암으로 10조 쓰고 감기로 20조 쓰고 있다면 감기에 쓰는 20조 중 10조원을 암에 쓸 수 있느냐를 논의할 수 있는 거니까요.
22/08/07 11:04
수정 아이콘
어 그정도는 건강보험공단의 통계연보에 주상병 기준 진료비 통계가 있을 듯 싶습니다
물론 비급여 자료는 빠져있지요
VictoryFood
22/08/07 15: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감사합니다.
알려주신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니 보건의료빅데이타개방시스템에 질병 소분류(3단 상병) 통계 가 있네요.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3thDsInfo.do

잠깐 찾아보니 2019년 기준 (2020년 이후는 코로나 때문인지 감기 환자수가 급감합니다)
감기(J00) : 환자수 423만명, 총의료비 1352억원, 급여비 1017억원 - 본인부담율 24.7%
폐렴(J189) : 환자수 208만명, 총의료비 7197억원, 급여비 5745억원 - 본인부담율 20.1%
위암(C16) : 환자수 16만명, 총의료비 5545억원, 급여비 4954억원 - 본인부담율 10.6%
간암(C22) : 환자수 7.5만명, 총의료비 5703억원, 급여비 5204억원 - 본인부담율 8.7%
폐암(C34) : 환자수 10만명, 총의료비 8356억원, 급여비 7643억원 - 본인부담율 8.5%
원발성고혈압(I10) : 환자수 626만명, 총의료비 9960억원, 급여비 7417억원 - 본인부담율 25.5%
협심증(I20) : 환자수 68만명, 총의료비 5218억원, 급여비 4255억원 - 본인부담율 18.4%
급성심근경색(I21) : 환자수 11만명, 총의료비 3685억원, 급여비 3302억원 - 본인부담율 10.3%
뇌경색(I63) : 환자수 50만명, 총의료비 12978억원, 급여비 9926억원 - 본인부담율 23.5%
지주막하출혈(I60) : 환자수 3.4만명, 총의료비 2519억원, 급여비 2168억원 - 본인부담율 13.9%
뇌내출혈(I61) : 환자수 5.7만명, 총의료비 4685억원, 급여비 3808억원 - 본인부담율 18.7%

질병기호는 질병분류기호 검색 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
https://kcdcode.kr/browse/main/
스카야
22/08/06 22:14
수정 아이콘
딱히 올릴생각이 없으니 설득자료를 만들이유도 없고..
만들라고 하는 사람이 없으니 앞으로도 만들일이..
제가 정치인이라면 소속 정당에서 건보료 올려서 수가 정상화 어쩌고 하면 바로 귀싸대기 칠 것 같습니다
표는 안되고 설득하긴 귀찮고
몽키매직
22/08/06 22: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거시적인 통계는 심평원에서 대부분 정보 공개되어 있을 겁니다만, 수가 적정성 / 본인 부담률 등과 같은 경우는 각각의 행위에 대해서 별개로 평가/설정이 되어 있어서 비전문가가 1가지 항목에 대해서도 수가가 적정한지 판단하기 쉽지 않을 겁니다. 물론 대놓고 수가가 재료대 보다 낮아서 누가 봐도 문제가 있는 부분도 있지만, 수술/시술의 경우에는 공간/장비/인력/시간 이 얼마나 필요한지 알고 이해를 해야지 판단할 수 있거든요. '심평의학' 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닙니다. 의사들도 본인 전문 분야의 보험 급여 구조, 수가 산정을 따로 공부해야할 정도라서...

a 항목에서 돈을 빼서 b 항목에 더 넣자는 이야기는 ... 음... 쉽지 않습니다. 왜냐면 결국 a 항목의 적정성을 판단할 전문 지식 + 여론을 등지고 실행할 정치력을 같이 가지고 있어야 해서... 그래서 경증 환자 본인 부담률 낮추는 선심성 정책들을 싫어하는 겁니다. 일단 한 번 해놓으면 롤백하기가 너무 어려워서요. 그래서 어떤식으로 하냐면, 이미 수가 산정해서 늘린 항목을 다시 빼기엔 절차적으로 정치적으로도 난이도가 있으니 특정 항목에서 돈을 빼는 게 아니고 전반적으로 수가를 억제하고 (동결) 지원할 부분의 수가만 올려주는 방식을 수십년 동안 해온 겁니다. 이렇게 하면 신경 안 쓴 부분에서 수가가 장기간 동결되는 부분이 생기죠.
SkyClouD
22/08/06 22:29
수정 아이콘
결국 a 항목과 b 항목 중 뭐가 중요하냐? 보다는 어느쪽 의사들이 더 정치력이 있냐로 결정되는게 한두번이 아니라...
심평원에 있는 의사들이 사실 제일 전문가인건 맞죠.
VictoryFood
22/08/06 22:32
수정 아이콘
그 거시적인 통계를 못 찾겠습니다.
당연히 비전문가니까 못 찾겠지만요.
그런데 그런 비전문가들이 건강보험료를 내고 있거든요.
내가 낸 건보료가 어떤 병에 얼마나 쓰이는 지는 알려줘야 하잖아요.
어떤 병원에 얼마가 쓰이는 걸 알아서 뭐에 쓰겠습니까.

위 그림에 보면 기타에 6조원의 건보료가 나가는데요.
치과 병의원에 3.6조, 한방 병의원에 2.2조원이 나고 본인부담율은 28% 더라구요.
이걸 본인부담율을 50%로만 올려도 2조원의 재원이 나오잖아요.
그러면 이 2조원을 기피과로 돌릴 수 있는 거죠.

이미 상당히 많은 건보료를 내고 있는데 이미 낸 건보료를 조정을 하지는 않고 기피과 수가를 올려주기 위해서 건보료를 더 높이자는 말만 하는 건 그냥 해결할 의지가 없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몽키매직
22/08/06 22: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가를 올려달라 와 건보료를 올려달라는 건 같은 말이 아닙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수가가 올라도 본인부담률 낮추면 건보료를 늘리지 않을 수 있거든요. 기피과에서 요청하는 건 수가를 올려달라는 것이고 건보료 분배, 본인부담률 조정은 정부에서 고민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어디서 돈을 빼와야되는지까지 알려달라고 요구하는 건 좀 이상하다고 봅니다. 출산율을 위해 육아 지원을 늘려달라고 정부에 요구하는 것이 세금을 올려달라는 것과 같은 말은 아니죠...
VictoryFood
22/08/06 22:43
수정 아이콘
정부에 육아지원을 늘려달라고 할 때 우리는 정부 예산이 어떤 곳에 쓰이는지를 알고 있습니다.
복지분야 예산이 적고 SOC 예산이 많으니 복지분야 예산 높여달라 하는 건 11월에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잖아요.
그러니 중증 의료비가 적게 나가고 경증 의료비가 많이 나가고 있다는 걸 알아야 수가를 올리는 것에 대해서 정부를 압박하거나 말씀하신대로 수가를 내리는 건 어려우니 보험료를 올리되 보험료 증가분이 온전히 중증 의료비로 들어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겠죠.
몽키매직
22/08/06 22: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저는 victoryfood 님이 생각하시는 방향에 100% 동의함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경증 질환 본인부담률 낮추고 필수/중증 지원을 늘리는 방향으로요. 그런데 의료라는 것이 유기체와 같아서, 예를 들어 경증 질환 a 에 대해 지원했을 때 중증질환 b 의 발병을 억제하여 의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는 최신 연구가 있는 상황을 가정합시다. 이런 경우 경증 질환 a 에 대한 지원이 정당화될 수 있는데, 비전문가가 보기에는 앞뒤 문맥 자르고 '경증질환 a 에 대한 지원 추가됨' 으로 보일 수도 있어요. 거시 통계에서도 '경증질환' 에 소모되는 비용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겠죠. 입원 병실료 지원률 증가 같은 대놓고 선심성 정책이 아닌 한 특정 의료정책이 적절한지 아닌지 판단하는데 상당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어요... 그래서 경증 질환 일괄 본인부담률 증가 같은게 어렵습니다. 결국 개별적으로 적정성을 판정해야되요.
22/08/06 23:29
수정 아이콘
예를들어서 '특정 질병 A를 치료하는데 100억을 쓰면'
이걸 치료하는 바람에 B의 발병률이 줄어서.. B에 돈 쓰는것보다 효과가 더 좋을수도 있습니다.


질병이라는게 하늘에서 단독으로 떨어지는 유전병도 있지만

대부분은 A->B->C 연쇄작용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경증 A를 고치는것만으로 중증 B에 쓰는것보다 더 좋은 효과가 나올수도 있습니다.
VictoryFood
22/08/06 23:43
수정 아이콘
그렇게 미시적으로 하나하나 따지면 어떤거 하나도 불필요한게 없죠.
그러면 결국 의료비 100조도 모자라니 200조 갑시다 가 되는 거구요.

모의 사고 실험을 해봅시다.
현재 중증 C는 연간 100명이 나옵니다.
그런데 현재 중증 C는 수가가 부족해서 50명만 살릴 수 있다고 합시다.
경증 A 에 들어가는 100억 중 50억을 빼서 C 에 넣으면 90%(90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단 경증 A 를 50억으로 줄이면 중증 C 의 모수가 50% 증가합니다.

현재 : C 발병 100, 치료 50, 사망 50
변경 : C 발병 150, 치료 90, 사망 60

이렇게 딱 떨어지게 되지는 않겠지만 이렇게 되면 A에서 돈을 빼서 C 로 옮기는게 손해겠죠.

문제는 그런 인과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고 A, A1, A2 등에 100억씩 들어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관련 통계가 필요합니다.
아이군
22/08/07 00:09
수정 아이콘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28422

아마도 이거? 가 그나마 가장 원하는 것에 가까운 수치 같습니다만, 이게 정확한가? 에 대해서 의사분들의 반발이 꽤 크다... 정도?
https://ppt21.com../freedom/96236#4568847(이 댓글의 대댓글 참조)
22/08/07 01:52
수정 아이콘
국내에 2차 가공을 걸친 자료는, 특정집단의 목적을 위해 특정 통계만 선별해서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까 OECD 통계 보실거면, 원본을 보세요. 2021년도 최신 통계입니다.

https://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health-at-a-glance-2021_ae3016b9-en

특히 OECD국가의 의사수 관련 통계 같은 경우 이 2차 가공이 심한데요. 이전에 정부에서는 공공의대를 포함해 의대정원 늘리려하는 이유 중 하나로, OECD 통계에서 OECD 국가중 국민당 현재의 의사수는 한국이 적은 편임을 가져왔었죠. 의사집단에서는 이에 대한 반대 근거로, 똑같은 OECD 통계에서 OECD 국가중 의사수 증가률이 한국이 최고이며, OECD국가중 국민의 의사에 대한 접근성을 반영하는 수치도 매우 높은 편이고,그리고 OECD 국가 의사중 전문의 비율이 OECD국가 중 한국이 높은 편임을 근거로 공공의대 등을 반대했었고요.

의료이용 및 접근성에 대해서는
5. ACCESS: AFFORDABILITY, AVAILABILITY AND USE OF SERVICES
파트를 찾아보면 나옵니다.

의료비 관련해서는
7. HEALTH EXPENDITURE
파트에 나옵니다

의사수 관련해서는
8. HEALTH WORKFORCE 파트의
Doctors (overall number)
Doctors (by age, sex and category)
등을 찾아보면 나옵니다.
플리트비체
22/08/07 00:14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 진료비 본인부담률을 올려야죠 특히 감기 이런거로 병원가고 보험처리하는거 낭비인거 같아요
의료수요를 좀 줄여야
22/08/07 02:09
수정 아이콘
본문에서 원하시는 자료를 얻으시려면 가장 가까운 데이터가

국민건강보험에서 수집한 데이터일텐데요. 심사하거나 수가 산정할 때 쓰는

이게 통계처리 가공을 안하면, 매우 방대한 양일거라서...... 원본데이터까지 찾기는 어려울 겁니다.

일단 국민건강보험에서 운영하는 일산병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보고서는

https://www.nhimc.or.kr/openInfo/management/audit/hospital_41_disc_audit05_1.do
여기서
건강보험수가정책 및 정책연구 활용을 위한 원가계산결과 정확성 향상방법론 연구
를 찾으시던가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ibK2PEFUOh8J:https://www.nhimc.or.kr/cntFileDownLoad.do%3FDownLoadDir%3D/down_data/audit/%26FileName%3Daudit05_etc46.pdf+&cd=1&hl=ko&ct=clnk&gl=kr

일단 연구보고서는 이런식으로 있긴 합니다.
마르키아르
22/08/07 04: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말씀하신 부분들이

VictoryFood이나 몇몇 뜻있는 분들의 정보 얻는것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실제로 말씀하신대로 진행이 되는데 도움이 될까? 싶기는 합니다.

( 말씀하신 부분에 상담부분 공감하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바랍니다만 현실성의 차원에서 말이죠 )

사실 말씀하신 부분들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 실낱같은 희망을 잡고 가대해보자면

어떤 훌륭한 의료인 + 정치인들 몇몇이 중요자리에 오르게 되어서 어느순간 확~! 진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VictoryFood님이 말씀하신 방식은... 오히려 더 불가능한 방식이라 생각하는지라-_-a

저게 정말 제대로 다 공개되고, 토론되기 시작하면

결국 여러분들이 혜택받고 계신거 , 혜택줄이고, 여러분이 내는돈 더 내세요를...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설득해내는데 성공해야 하거든요... 과연 이게 가능할지.....

그냥 어느날 갑자기, 여러분들 돈좀 더 내시고, 받는 혜택 줄어듭니다가,

기습적으로 통보되어야.. 그나마 반발없이 진행될수 있겠죠.

물론 제일 처음 애기한것처럼 전자든, 후자든 둘다 현실성이 없는데

둘중에 뭐가 더 현실성 없는지 비교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냐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만....


ps. 대부분의 국민들이 공감하고, 찬성하고 훨씬 작은 예산이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진행안되는 법들이 수두룩한걸 생각하면 더 절망적이고요
22/08/07 09:25
수정 아이콘
심사평가원에서 수년에 한 번씩 "건강보험수가 상대가치" 평가를 합니다. 구글링하면 자료들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행위별뿐 아니라 '과별' 상대가치도 평가합니다. 그 결과 대학병원에서 교수들 봉급은 과별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희귀 질환 전문가는 그래서 당직 돌릴 정도의 최소 인원만 유지합니다.
내가고자라니
22/08/07 11:15
수정 아이콘
저는 미국식 건강보험제도를
적용했음 좋겠습니다
건강한 사람은 강제로 건강보험
안내서 좋고
고급의료서비스를 그에맞는 비용만
지불하면 누구나 이용할수 있으며
건강보험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구요
22/08/07 11:29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의료비가 노인의료비로 지출됩니다
경제활동이 끝난 시기에 고액보험료 낼 사람 얼마 없을걸요?
황금경 엘드리치
22/08/08 07:55
수정 아이콘
미국식 제도는 미국에선 돈은 돈대로 쓰고 효과는 없다고 경제학자들이 쌍욕하는 제도라 반대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255 [정치] 보수 콘크리트 지지층의 균열 [57] 치느13644 22/08/08 13644 0
96254 [일반] 책 후기 - <지구 끝의 온실> [8] aDayInTheLife7716 22/08/08 7716 4
96252 [정치] 내가 윤석열 정권에 원했던 것 [233] 스토리북21778 22/08/08 21778 0
96251 [일반] 실제로 유용하지 않은 윈도우 단축키 Win + D 키 [22] Pika4810340 22/08/08 10340 6
96250 [정치] 윤석열 대통령, KSOI 여론조사 부정평가 70%대 돌파-리얼미터 지지율 30% 붕괴 [114] Davi4ever17427 22/08/08 17427 0
96249 [일반] 컴퓨터 파일 작업시 의외로 안 되는 기능 Pika487406 22/08/08 7406 3
96248 [일반] T-50/FA-50 이야기 3편 - (개발사2) 탐색 개발로 가는 길 [19] 가라한8569 22/08/08 8569 28
96247 [일반] 의사 간호사 협회 1인 시위 논란 [135] 달은다시차오른다18264 22/08/07 18264 16
96246 [정치] 칩4 선택의 기로에 놓였네요. 드디어. [109] 빼사스18405 22/08/07 18405 0
96245 [일반] [일상] 바람나오는 통풍 매트리스 후기 [17] VictoryFood13376 22/08/07 13376 4
96244 [일반] T-50/FA-50 이야기 2편 - 개발사1 [19] 가라한9365 22/08/07 9365 34
96243 [일반] 읽고 싶은 만화책 목록입니다. [32] 애플댄스8008 22/08/07 8008 0
96242 [일반] 잘차려놓은 비빔밥 한 상 - 넷플릭스 카터 [37] 닉언급금지10613 22/08/07 10613 7
96241 [일반] Wccftech 주인장 핫산. 그래픽카드 제조 준비 확인 [10] SAS Tony Parker 10292 22/08/06 10292 1
96239 [일반] [강스포일러]프레이- 돌아왔구나 프레데터! [13] 꿈꾸는드래곤7498 22/08/06 7498 4
96238 [일반] 의료비 관련 통계를 알고 싶습니다. [22] VictoryFood9575 22/08/06 9575 7
96236 [일반] 의사의 커리어 패스와 기피과 문제 [296] 붉은벽돌19846 22/08/06 19846 25
96235 [일반] 영화 때문에 사귀고, 영화 때문에 헤어진 이야기 [11] 닉언급금지10212 22/08/06 10212 16
96234 [정치] 이준석 파동과 보수진영의 세대교체 [54] 이그나티우스16173 22/08/06 16173 0
96233 [일반] 어제 달려본 소감+다이어트진행상황 (아무래도 우주전쟁님이 날 속인거 같아!) [19] Lord Be Goja10565 22/08/06 10565 21
96232 [일반] 늘 그렇듯 집에서 마시는 별거 없는 혼술 모음입니다.jpg [30] insane12543 22/08/06 12543 21
96231 [일반] [팝송] 테이트 맥 레이 새 앨범 "i used to think i could fly" 김치찌개4847 22/08/06 4847 0
96230 [정치] 가벼운 대통령실 홍보 관련 정치글 입니다. [112] 공사랑15536 22/08/06 155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