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9/28 00:20:04
Name swordfish
Subject [일반] 우리가 투표를 하지 않는 이유.
1, 투표는 원래 고귀한 자만 했던 거다.
고대는 사실상 무시하는게 좋습니다. 고대 민주정이라고 해 봤자, 아테네, 그것도 페리클레스 시대 한정이니까요.
그리고 나머지는 민회라고 해 봤자, 민회장에 올수 있는 소수가 누가 목소리 큰 지를 확인하는 자리니까요.
결국 19세기 투표권 개혁이 영국에서 일어나기 전에는 그나마 투표라는게 실재적으로 존재했던 곳은 과두정 체제 하의 공화정에 불과합니다.
그럼 투표권은 누가 가졌을까요?
지주입니다. 땅이 있는 존재, 그걸 지주라고 불렀든 귀족이라고 불렀든 말이죠.아무튼 이들은 당대 흔히 말하는 고귀한 피를 가진 존재.
그들만이 투표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열심히 투표를 했는데, 이는 다른 사람과 자신의 신분 차이를 확인하는 주요한 행위였기 때문입니다.

2, 그럼 자유민주정에서는?
그럼 자유 민주정에서는? 모두 아시겠지만, 투표는 개나 소나 할 수 있는 행위입니다. 만 20세에 해당 자격(그것도 아주 낮은 기준치죠.)만 갖추면 누구든요.
누구나 투표를 할 수 있는 이유는 두가지 이유입니다.
1) 노동자와 농민이 피로 쟁취했다.
2). 부르주아가 귀족이나 왕을 누르기 위해 이들에게 투표권을 허했다.

3, 하지만 부르주아는 모두 투표할 수 있게 했지만 과두정을 위한 안전 장치를 마련 했다.
1) 투표가 강한 힘을 가질 수 있는 걸 다수의 독재란 이유로 막아 버렸습니다. - 그게 바로 법치 주의와 대의제입니다.
- 법을 통해 투표에 한계치를 두었습니다. 또한 왕을 견재하기 위한 헌법을 다시 강화시켜, 이의 제정과 해석을 고도의 법학적 이론을 통해 하도록 하였습니다.
- 또한 이를 할 수 있는 자를 선출되지 않는자. 혹은 뒤에 설명할 대의제의 일원로 한정하였습니다.
-2)대의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투표를 할 수 있는자와 출마할 수 있는 자는 전혀 다른 계층일 밖에 없습니다. 지금이야 많이 완화 되었지만, 출마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재산을 가진자에 한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 결국 대의제 하에서 대의자는 부르주아나 그 이상의 재산을 가진 자에 한정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재정하는 법과 해석은 그들에 신분에 묶일 수 밖에 벗는 거죠.

4, 이러한 안정 장치는 모두에게 투표를 할 수 있었지만, 결국 민주정을 과두정으로 작동하게 만들었습니다.
- 결국 투표를 해도 이 때문에 아무 것도 많이 달라지지 않았던 겁니다.

5, 그래서 투표를 안한다.
- 달라지지 않으니 투표를 할 필요가 없죠.
이상 투표를 왜 안하는지 자유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었습니다.

6, 사실 지금까지 논리 전개는 엄청나게 상황은 단순하게 여긴 겁니다.
- 세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 제가 이야기한 19세기 자유주의자와 맑시즘을 섞어서 이야기한 것 뿐입니다. 현실은 좀더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런 허접 논리로도 설명이 안되는 게 훨씬 많습니다.
- 실재로는 전혀 다르게 흘러 갑니다. 사실 선거의 선택은 복잡하게 그에 대한 전개도 엄청 복잡합니다.
- 그리고 19세기 후반 사실상 현재의 민주주의가 처음으로 실현되었을 때 좀더 과두정적 요소가 강했던 것에서 현재는 엄청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7, 단지 유권자가 성급하지 않으면 됩니다.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바꾸면 많은게 바뀝니다. - 그래서 투표 합시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信主SUNNY
09/09/28 00:23
수정 아이콘
하고싶어도 다음 선거가 멀어요...
서울 살땐 서울교육감, 부천오고서 경기교육감선거에 참여했습니다만, 다른 선거가 없다는..
lost myself
09/09/28 00:52
수정 아이콘
버나드 마넹의 '선거는 민주적인가'를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선거의 비민주적인 면에 대해 고개를 끄덕이게 해줍니다.
무엇보다도 현재 우리들이 갖고 있는 "선거만이 유일하게 민주적인 방식이라는 생각"이 얼마나 큰 착각인지를 깨닫게 해줍니다.
고대부터 18세기 까지만 해도 여러 선택가능한 정치 제도 중 선거는 비민주적인(귀족적인) 방식으로 여겨지고 있었거든요.
저는 되게 재밌게 읽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같이 읽지 않은 사람하고는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하기가 정말 힘들더군요.
선거가 가장 민주적이라는 고정관념이 너무 강한 것 같아요. 그것을 깨기는 정말 쉽지 않은 듯합니다.
Chandler
09/09/28 08:57
수정 아이콘
투표를 통한 대의 민주주의가 민주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채택하고 있다기 보단....

대안이 없다는게 이유겠죠....
09/09/28 09:27
수정 아이콘
선거만을 기다리기에는 민주의 뜻을 이루기에는 너무나도 멀게 느껴집니다.
문제는 그 외에 할 수 있는 게 무엇인가가 혼란스러울 뿐...
603DragoN2
09/09/28 21:53
수정 아이콘
책 읽어보고 싶군요.. 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293 [일반] 글을 삭제 하였습니다. [4] 착한아이3971 09/09/28 3971 0
16292 [일반] 우리가 투표를 하지 않는 이유. [5] swordfish3298 09/09/28 3298 0
16291 [일반] 가덕도는 지금... [7] 어진나라3492 09/09/27 3492 0
16288 [일반] 고대 문명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요? [48] 소금저글링5695 09/09/27 5695 0
16287 [일반] 아래에서 약간 다른... 빅뱅과 끈이론등. [23] 부평의K4181 09/09/27 4181 0
16285 [일반] 2009프로야구 골든글러브 최종예상 [22] 럼블5089 09/09/27 5089 0
16284 [일반] [야구] 페넌트레이스 끝난김에 쳐보는 마구마구 설레발 [30] AnDes5217 09/09/27 5217 0
16283 [일반] [우주관련] 2009년 7월 19일 NASA에서 공개한 아폴로11호 달 탐사관련 사진 [144] Arata6841 09/09/27 6841 0
16282 [일반] 무한홈쇼핑 특집을 보고, 멤버들의 평점을 매겨 보았습니다. [35] 유유히8133 09/09/27 8133 0
16281 [일반] 프로야구등 다른 프로스포츠에서 애국가 트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8] 잘가라장동건5693 09/09/27 5693 0
16280 [일반] [∫일상] 그냥 그저 그렇고 그런 이야기들 - 3 [9] Shura3373 09/09/27 3373 0
16279 [일반] 현재 U-20 청소년 월드컵 진행 중입니다.(후반 종료) 한국 0 : 2 카메룬 [31] videodrome3506 09/09/27 3506 0
16278 [일반] 추석때는 효도한번해요.(부모님 안마하기) [11] 부엉이3248 09/09/27 3248 0
16277 [일반] 이청용 선수의 첫골 장면입니다 [34] KID A6591 09/09/27 6591 0
16274 [일반] [야구] 트윈스의 오늘과 내일 ① 타격 [32] 설탕가루인형4287 09/09/26 4287 0
16272 [일반] 박지성 선수 벤치에도 제외.. [120] 반니스텔루이7834 09/09/26 7834 0
16271 [일반]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 부탁드립니다. [13] KyRiE2837 09/09/26 2837 1
16269 [일반] 토요일밤..담배 이야기나 해볼까요? [63] summersnow6337 09/09/26 6337 0
16268 [일반]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09/26(토) 리뷰 & 개인기록 부문별 최종순위 [26] 돌아와요오스3531 09/09/26 3531 1
16267 [일반] '신종플루는 더 이상 '신종'플루가 아닙니다. [27] Timeless6248 09/09/26 6248 0
16265 [일반]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두산vs롯데의 출전 엔트리가 확정되었습니다. [19] lotte_giants3594 09/09/26 3594 0
16263 [일반] 박용택 선수가 교체되었습니다... [92] 햇살같은미소5616 09/09/26 5616 0
16261 [일반] (역사 혹은 대항해시대 4 이야기)- 게르하르트씨와 넬슨 [9] swordfish4241 09/09/26 424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