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05 23:44:00
Name meson
Subject [일반] 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유비와 조조의 대립은 일반적으로 명분과 실리의 대립이라고 이해됩니다. 유비가 한실의 보위라는 당대의 도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반면, 조조는 이러한 도덕에 얽매이지 않고 권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결과적으로는 난세를 안정시켰기 때문이죠. 따라서 당대의 이념에서 벗어나 판단한다면 조조가 천하에 선사한 이익은 손해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입장에서 유비의 활동은 도덕적인 흠결을 지적하며 실질적인 편익을 부정하는 태도로 위치지어집니다. 천하위공(天下爲公)의 관점에서 조조를 ‘초세지웅’으로 평할 수 있는 것은 여기에 근거합니다.

명분과 실리의 이항대립에서 실리에 해당하는 측이 옹호받는 경향은 한국사에서도 발견됩니다. 당대의 정서로만 따지자면, 대명의리를 저버리고 폐모살제를 자행한 광해군은 명분상 반정을 당해도 마땅한 군주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당대의 이념에서 벗어나 판단한다면 광해군이 집권하는 것이 호란을 당하는 것보다는 훨씬 이익이었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이 입장에서 인조의 활동은 도덕적인 흠결을 지적하며 실질적인 편익을 부정하는 태도로 위치지어집니다. 조선후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현대인들이 인조보다 광해군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여기에 근거합니다.

*

물론 이와 같이 주장한다면, 조조의 활동이 권력지상주의적 풍조를 일으켜 고평릉 사변과 팔왕의 난이 야기되었기 때문에, 결국 장기적으로는 조조가 천하에 유발한 손해가 이익보다 더 컸다고 반박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광해군의 업적에 대해서도, 호란 자체는 후금의 상황에 의해 개시된 것이므로 조선의 태도는 결정적인 영향이 없었고, 궁궐병으로 대표되는 광해군의 내치는 해악이 심했으므로, 광해군이 국가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바는 크지 않다고 주장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혹은 인조의 실책 중 상당수는 시대적 악조건으로 인한 것이라고 변호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엄밀히 말해 이러한 논의로 끌려들어가게 된다는 것은, 어떤 도덕이나 명분론도 결국 편익에 호소하지 않고는 자체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는 인식을 함의합니다. 특히 삼국지나 인조반정에서 중시되던 도덕적 규준이 현대의 그것과는 다소 다르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당대의 관점을 근거로 유비나 인조를 옹호하는 것은 자칫 시대착오적이라는 지적을 받을 가능성까지 있지요. 반대로 도덕이 특정 사회가 편익을 산출하기 위해 합의한 체계일 뿐이라고 파악할 경우, 도덕의 위반은 그것이 사회적으로 더 큰 편익을 선사하는 경우에 한하여 정당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

흥미로운 부분은 이러한 관점을 인정하고 사회적 손익을 기준으로 위의 화두들을 다시 고찰할 경우, 뜻밖에도 공수의 교체가 일어난다는 점입니다. 도덕을 위반하는 근거로 편익을 강조하는 측은 자연스럽게 입증책임을 지게 되는 까닭이지요. 예컨대 조조가 협천자를 통해 여러 군벌들을 토벌하고 북중국을 안정시킨 점은 편익의 증대로 평가될 수 있지만, 이러한 공로가 조조의 황후 살해와 위국 창건까지 자동으로 정당화시켜 주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도덕을 위반하는 행보는 각각의 경우에 모두 그 편익이 입증되어야 비로소 정당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구도에서 조조와 광해군은 자신들의 조치가 어떤 면에서 기존 도덕의 방법보다 더 나은지를 해명해야 하는 입장에 놓입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비판점들을 검토할 경우 이 해명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후한이 150년 이상 안정적이었던 반면 조위는 45년을 겨우 유지했으며, 광해군의 인목대비 유폐는 반대파의 결집을 촉발하여 정권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대외정책의 지속을 어렵게 했기 때문이죠. 다시 말해 위국 창건은 천하의 안정에 오히려 해가 되었고, 인목대비 유폐 역시 호란의 방지에 오히려 해가 되었습니다. 편익의 관점으로 이를 옹호하기란 어려운 것입니다.

*

따라서 우리는 이 지점에서 명분과 실리의 이항대립이 상당 부분 개념적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도덕 준수의 편익’과 ‘도덕 위반의 편익’ 사이의 선택이 있을 뿐이라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때 전자를 택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책임이 분산되고, 일정량의 편익은 확실히 보장되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후자를 택하는 것은 보다 모험적이고, 책임이 커지며, 편익이 산출될지도 불확실한 방법이지요. 그렇기에 도덕의 위반은 실행 즉시 비난받기 마련이며 단기적 성과를 내더라도 여전히 의심받고, 장기적으로도 더 큰 편익을 산출한다는 것이 입증되어야만 정당화되는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의 난제는 과연 장기적인 편익이 산출될지의 여부를 당대에는 알기 힘들다는 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실 정치에서 도덕을 위반하는 측은 늘 ‘실리’의 편을 자처하고, 이를 비판하는 측은 ‘명분’의 편으로 위치지어지곤 하지요. 이러한 인식론조차 없이 도덕을 위반하기란 심리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항대립 구도는 실제로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가 결과적으로 편익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하더라도, 분명한 점은 그 입증책임이 도덕을 위반하는 측에게 있지 이를 비판하는 측에게 있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

그렇기에 역사를 돌이켜 포폄한다면, 조조의 위국 창건은 난세의 극복에 별다른 기여가 없었으므로 사회적인 편익이 모호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비판은 정당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광해군의 인목대비 유폐는 대외정책에 동력을 제공하기는커녕 그 약화를 야기했으므로 사회적인 편익을 오히려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비판도 정당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도덕을 위반하는 행보는 그 자체로 혼란과 반발을 초래하여 사회적인 편익을 감퇴시키기에, 이를 능가하는 편익의 증가가 입증되지 않는 이상에는 늘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명분을 비웃으며 실리를 택하자는 자들을 도리어 비웃을 수 있고, 편익을 약속하며 도덕을 위반하는 자들을 떳떳히 비판할 수 있으며, 미래를 추단하여 현재의 부도덕을 옹호하는 자들을 배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한 태도를 합리적이고 정석적인 것으로서 중시할 수 있게 됩니다. 나중에 가서 평가하기에 실제로 그때의 도덕 위반이 편익을 증대시켰더라도, 정당성은 그것이 입증된 뒤에야 비로소 부여되는 까닭이죠. 그러므로 당대의 상황에서 판단한다면, 도덕 위반을 비판하는 입장은 언제나 더 큰 정당성을 가진다고 안전하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는 결코 역사가의 것이 아니라는 말과 같은 원리로, 장기적 편익의 산정은 결코 당대인의 일이 아닐 터이니 말이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샬스피커
25/04/05 23:58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문제는 이런 관점을 극단적으로 끌고 갈 경우 어떤 역사적 진보도 납득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는 것이죠. 왕정 시대에 민주주의를 부르짖거나 하는 것들이 대표적인 부류겠고요. 이것이 도덕과 도덕 위반의 싸움이냐?고 현대적으로 보자면 의아할 수도 있지만 도덕을 하나의 규범 체계(또는 관습)라고 확대한다면 그렇게 볼 수 있죠.
25/04/06 00:1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그래서 스스로 진보를 이루어내겠다는 사람들은 뭔가 조조처럼(...) 얼굴은 두껍고 성정은 오만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봤자 그중 99%는 방향이 잘못돼서 악당으로 평가받기 일쑤지만, 1% 정도는 실제로 진보를 이루어냈다고 밝혀질 수가 있으니까요.
아우구스티너헬
25/04/06 01:12
수정 아이콘
이런 류의 비교는 꼭 시대적 변화에만 발생하는건 아닙니다.

척화냐 주화냐의 논리에서 언제나 다루어야할 문제죠
명예를 위해 피를 흘릴거냐 굴욕적이지만 인내할거냐

조선의 남한산성에서도.. 우크라이나의 키이우에서도..
그리고 국가를 위한거였지만 주화론자는 이후 매국노가 되어야합니다. 국가적 명분의 가치를 위해서죠
이 메카니즘을 언젠가 한번 다루어보고 싶어요
아부하자르
25/04/06 06:37
수정 아이콘
인조의 외교가 잘못된 건 사실이지만 광해군 옹호 자체가 20세기에 정치적인 이유로 날조한 거에 가깝긴 한데.
명분과 실리는 보통 같이 가고 실리랍시고 명분을 다 쓰레기통에 쳐박는 부류는 결국 나중에 실리도 다 잃는 경우가 훨씬 많죠.
수메르인
25/04/06 08:45
수정 아이콘
조조가 후대에 욕을 먹은건 본문에 언급하신 것처럼 시대풍조를 죄다 '조조와 사마의'처럼 만든 결과 벌어진 일이 팔왕의 난과 오호십육국 시대이기 때문이죠. 초세지걸이니 사촉풍운의 영웅이니 찬사를 받았지만 사람들이 이걸 본받아 죄다 두 사람처럼 행동하니 세상이 지옥도가 되어버렸습니다.
유비, 제갈량이 승자가 되지 못하고 어리석게 행동했다 비판받았지만 오히려 세상엔 이런 '바보'가 더 필요했다는게 나름의 교훈이 아닐까 합니다.
니드호그
25/04/06 09:19
수정 아이콘
이런 문제를 생각할 때, 결국 '장기적인 편익'을 만들어낸 건 당대인들이 아니라 후대인들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당대인이 명분과 실리 어느 쪽을 택해서 후대에 남기건, 그들이 남긴 유산을 이용해서 성공하든 실패하든 결과를 만들어내는 건 후대인들이니까요.
내가 남긴 이 유산을 후대인들이 잘 살릴 것인가 어떤가는, 당대인들 입장에선 순전히 운빨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당대인들이 좋은 유산을 남겼다면 후대인들도 좋은 결과를 낼 확률은 올라가긴 할 겁니다만.
당대인들이 좋은/나쁜 유산을 남겼기에 성공/실패했는지(템빨) 별로 좋지도/나쁘지도 않은 유산을 받은 후대인들이 자기 실력으로 성공/실패했는지(실력빨) 그것도 아니면 순전히 운빨일지…. 사실 이건 역사를 살펴보는 후대인 입장에서도 알 수 없는 것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25/04/06 09: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확실히 똑같은 시스템이라도 운용을 누가 하느냐에 따라 효용이 다르기는 합니다.

다만 조조의 경우에는 조위 창건으로 자기 후손들을 운영자로 점지하고 떠난 셈이라 후대의 실패에 좀 책임이 있다고 보는 것이고, 광해군은 본인 대에 반정을 당해서 반대파에게 시스템을 넘겨줬으니 후대의 실패에는 책임이 적다고 보는 것이죠.
25/04/06 10:08
수정 아이콘
명분이란 백성의 마음을 얻기 위한 연출이고, 실리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한 기술이다.
위국이 45년만에 끝난 것은 내 아들이 못나서지, 내가 나라를 그르친 탓은 아니다.
펠릭스
25/04/06 19:44
수정 아이콘
일어서라 조조. 왜 아들, 손자의 수명이 다 그따위지
이리떼
25/04/06 11:59
수정 아이콘
저는... 솔직히 과거의 일들과 인물들에 대한 (어쩌면 현대까지도) 수많은 비평들 중에서 대부분이 정말 의미가 있는 행위인지 의문이 많이 듭니다.
누가 잘했다, 위대한 인물이다, 크게 중요하다.. 등등
전..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건 다만 사회의 생산성이야말로 모든 문제, 갈등, 충돌, 모순의 시발점이라는 것입니다.

제 시선에는 도덕도 실리도 다 이 명제 앞에서 무의미해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395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99594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404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6454 3
104030 [일반] 쿠르츠게작트 "한국은 망했다" 를 보고 고무닦이94 25/04/06 94 0
104029 [일반] [단편] 세상 가장 편한 인생을 산 사람 이야기 [1] Thenn280 25/04/06 280 2
104028 [일반] 미국이 신안 염전 소금을 수입금지했습니다. [71] Lz6711 25/04/06 6711 12
104027 [일반] 신생아 중환자실 학대 관련 대구가톨릭대학교 병원 공식 사과 [67] SAS Tony Parker 7697 25/04/06 7697 2
104026 [일반] [팝송] 레이디 가가 새 앨범 "MAYHEM" [1] 김치찌개2158 25/04/06 2158 2
104025 [일반] 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10] meson3204 25/04/05 3204 3
104024 [일반] (스포) ⟨소년의 시간⟩ - 무엇이 소년을.... [22] 마스터충달3875 25/04/05 3875 12
104023 [일반] [자작소설] 역대급 재앙이 터졌던 바로 그날 [1] 독서상품권4003 25/04/05 4003 2
104022 [일반] 트럼프의 최종 목표는 미국의 모라토리엄 선언입니다. [64] 캬라11543 25/04/05 11543 5
104021 [일반] 한국은 러시아를 개꿀 삼아 성장해야 합니다. [78] 깐부7461 25/04/05 7461 4
104020 [일반] [과학] 지구에 충돌한다는 소행성 근황 [21] 공실이6756 25/04/04 6756 1
10401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90. 천간과 지지 한자들 [4] 계층방정2042 25/04/04 2042 2
104018 [일반] [LOL] 2024 전설의 전당 불멸의 아리 피규어 리뷰 [5] Lelouch3915 25/04/04 3915 8
104017 [일반] 충격적인 부동산 집값 근황 [206] 마그데부르크17720 25/04/04 17720 0
104015 [일반] 현재 달러 환율 근황 [44] 된장까스12571 25/04/04 12571 1
104014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79] jjohny=쿠마18292 25/04/04 18292 0
104013 [일반] 현재 벌어지는 '엔드 오브 나스닥' [73] 된장까스10009 25/04/04 10009 0
104012 [일반] 무역적자와 기축통화국에 관하여 (ChatGPT와의 대화) [21] 번개맞은씨앗3791 25/04/04 3791 2
104010 [일반] 한국은 원래 섬이었다? [6] 식별5210 25/04/03 5210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