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31 15:40:11
Name 터치터치
Subject [질문] 입결 기준 문과의 고대 하위권 학과 vs 성대 상위과
문과의 경우
고대는 어문쪽(노어노문 서어서문)
성대는 경영쪽 을 대학 입학 선택하라면

그래도 학교 네임이 있는데 라고 하면서 고대일까요?

그래도 학과가 중요해서 성대일까요??


판단이 어렵네요

의견들 부탁합니다 꾸벅

새해복도 미리들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싸구려신사
24/12/31 15:41
수정 아이콘
정말고민 될 것 같습니다. 잘 모르는 입장에서는 고대가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전과 및 복전)
터치터치
24/12/31 15:49
수정 아이콘
고민이란 걸 알아주시는 것만 해도 감사합니다 ㅜ
유티엠비
24/12/31 15:53
수정 아이콘
문과면 학과보다는 대학 네임밸류를 우선시 하죠.
싸구려신사님께서 말씀해주신 전과 및 복수전공이 이과보다는 쉬워서일껍니다. 고대 추천합니다.
Far Niente
24/12/31 16:02
수정 아이콘
국내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큰 차이인지는 모르겠는데
학내 문화 측면에선 고대를 더 추천하고 싶네요 물론 여긴 아재들이 많아서 요즘 문화가 어떤진 모릅니다..
24/12/31 16:03
수정 아이콘
성글경이면 그쪽인데 그 외는 고대가 좀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24/12/31 16:21
수정 아이콘
요새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저때였으면 고대가서 복전했을 것 같습니다.
24/12/31 16:55
수정 아이콘
무조건 무조건 고대 가야죠
터치터치
24/12/31 17:03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24/12/31 17:04
수정 아이콘
문과는 학과차이가 크지 않고 어차피 가서 복전 고려하게 될 확률이 높고, 그걸 봐서는 고대가 낫다 봅니다.
모찌피치모찌피치
24/12/31 17:11
수정 아이콘
성대 출신이지만 고대가야죠. 국내대학은 전공 진짜 별의미 없는거 같습니다.
Mini Maggit
24/12/31 17:12
수정 아이콘
문과는 로스쿨을 패자부활전 옵션으로라도 안 놓을 수가 없어서 고대요.
친구들한테 고딩 때부터 고대까 소리 듣는데 이건 고댑니다. 보너스로 뭉치는 문화도 있긴 있고
Lina Inverse
24/12/31 17:33
수정 아이콘
ssky인데 이걸 고대를..!
Chrollo Lucilfer
24/12/31 17:56
수정 아이콘
15년도 더 전에 입시했지만
그때 기준으로는 무적권 고대였습니다.
지금도 그렇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알라딘
24/12/31 17:57
수정 아이콘
문과쪽이면 압도적 고대....!! 그정도 머리면 또 대학가서 열심히 하면 됩니다.
코마다 증류소
24/12/31 17:57
수정 아이콘
윗분들도 많이 말씀하셨지만 고대가서 복전 선택하겠습니다.
초콜릿
24/12/31 18:15
수정 아이콘
고려대요. 서성한 상위권 학과 진학했던 친구들이 졸업하고 직장인이 되어서도 옛날에 과를 낮춰서라도 일단은 연고대를 갔어야했다는 이야기를 하더군요... 출신대학 이름값이 생각보다 더 크고, 특히 문과는 복수전공이라든가 선택지가 더 있어서요.
이혜리
24/12/31 18:19
수정 아이콘
요즘 문과는 답 없어서,
나중에 전문직 쪽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있는데
압도적 학교 네임밸류 입니다.
법인 내에서도 서울대 사범대 나온 분이 연고대 경영 나온 분들 보다 더욱 대우 받아요.
모나크모나크
24/12/31 18:36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잘 모르겠다 했는데 댓글은 걍 고대네요;;; 문과는 다르군요 진짜
키르히아이스
24/12/31 18:44
수정 아이콘
어차피 문과라면 학과가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나중에 전문직종으로 나가려고해도 자격증 유무가 중요하지 학과가 중요한건 아니라서요
젤나가
24/12/31 19:04
수정 아이콘
이건 한참 성균관대 높게 쳐주던 10년 전이었어도 닥 고대라고 생각합니다. 이공계여도 고대 고를 사람이 더 많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인문계열이면 고민의 여지가 없어요
24/12/31 21:12
수정 아이콘
이과 기준으로 첫 취업땐 차이가 없거나 적은데
이직 할 때는 대학 네임밸류가 차이 좀 났습니다.
문과면 장난아닐듯 하네요
우상향
24/12/31 22:08
수정 아이콘
어차피 망한 문과인데 SKY 간판이라도 건져야...
스테픈커리
24/12/31 23:16
수정 아이콘
문과면 고대가야죠.
이과면 성대가고요.
문과도 법대와 노어노문 정도의 차이면 성대가겠습니다.
붉은벽돌
25/01/01 13:32
수정 아이콘
로스쿨 있는 대학들은 법대 학부가 다 없어져서... 성대 고대 둘 다 더 이상 법대는 없습니다.
스테픈커리
25/01/01 16:09
수정 아이콘
그럼 고대로 답이 이미 나와있네요. 고민할꺼리가 아닙니다.
LG의심장박용택
24/12/31 23:44
수정 아이콘
고대죠 크크
가공버터3.8%
24/12/31 23:59
수정 아이콘
고민할게없이 고대요.
학교이름 달라지면 만나는 인재풀도 차이가 심합니다.
친친나트
25/01/01 10:38
수정 아이콘
요즘엔 상경계 메리트도 거의 없어져가는 것 같습니다.
디아블로4
25/01/01 15:54
수정 아이콘
같은 고민을 오래 전에 했었는데, 저는 스카이 선택했습니다. 다만 저는 상경이 취업시장에서 그렇게 큰 메리트가 있는지는 몰랐어요.(2010년대 중반 기준입니다) 물론 문과는 그래봐야 이과 앞에서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그래도 문과 내에서 상경은 유의미하게 다르더군요.
상경이 정 고민된다면 고대가서 전과든 복전이든 하면 됩니다. 전과는 조금 어렵지만 복전은 전과보다는 훨씬 쉽고, 인문대에서 그런 테크 타는 학생은 꽤 많아요. 
고민시
25/01/01 16:22
수정 아이콘
그렇게 원서 넣은시점에서 고대를 갈수밖에없게됩니다
터치터치
25/01/01 17:15
수정 아이콘
추가 답변도 모두 잘 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5/01/01 18:12
수정 아이콘
고대요. 무려 스카이 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291 [질문] 오징어게임2 보신분들 계신가요? [38] 미카3551 25/01/07 3551
179290 [질문] 시간이 너무 안갑니다. 살려주세요. [15] dolce biblioteca4147 25/01/07 4147
179289 [질문] 인테리어 사진 보면서 감각 키울 영상이나 매체 추천 [9] 8figures2540 25/01/07 2540
179287 [질문] 대가족 해외 여행 갈때 차량 어떻게 구하나요?(일본) [16] 본좌3301 25/01/07 3301
179285 [질문] 크롬 사용 질문 입니다. (공동인증서) 키키모하2534 25/01/07 2534
179284 [질문]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5] freely2901 25/01/07 2901
179283 [질문] usb 허브 이런거 없을까요 [11] 월터화이트3017 25/01/07 3017
179282 [질문] 공매도 후 주식을 안 갚으면 어떤 일이 발생하나요? [10] VictoryFood3769 25/01/07 3769
179281 [질문]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4] 윤재인2604 25/01/06 2604
179280 [삭제예정] 답변 감사합니다. [14] 삭제됨3796 25/01/06 3796
179279 [질문] 원화 헷지라는 것의 개념이 궁금합니다! [5] 마지막처럼3412 25/01/06 3412
179278 [질문]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놔라2828 25/01/06 2828
179277 [삭제예정] 맞춤법 질문있습니다 [7] Mikopap2113 25/01/06 2113
179276 [질문] 초등학생 문제집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귀여운호랑이2386 25/01/06 2386
179275 [질문] 10만원대 게이밍 헤드셋 추천 부탁 드립니다. [2] 마이스타일3039 25/01/06 3039
179274 [질문] 친한 친구 어머니가 무슨 코인알바(?) 제의를 받으셨답니다. [27] 윤석열4728 25/01/06 4728
179273 [질문] 엑셀, 하위 개체(단계) 입력 시 상위 분류 단계가 출력되는 법이 있을까요? [5] Pygmalion2507 25/01/06 2507
179272 [질문] 아이 둘 동반 제주 여행 숙소 및 일정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바이올렛파파2417 25/01/06 2417
179271 [질문] 30살 남자 직장인 생일선물 추천 부탁드려요 [25] 에프케이3827 25/01/06 3827
179270 [질문] 영어 작문에도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서 학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2] 미키맨틀2394 25/01/06 2394
179269 [질문] 올해 미국주식장 어떨거라고 예측들하시나요 [21] 두억시니3246 25/01/06 3246
179268 [질문] 나쁜 일 혹은 좋은 일은 같이 오는 경향이 있다고 느끼시는지요..? [14] nexon3271 25/01/05 3271
179267 [질문] 미국 운전 난도가 어떻게 될까요(일반 SUV vs 대형SUV) [14] 른밸3664 25/01/05 366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