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13 12:20:19
Name 독서상품권
Subject [질문] 경신대기근은 왜 한국사에서 언급조차 잘 되지 않을까요?
비록 당시 한반도가 왜란과 호란을 연달아 겪은 뒤에 터진 대사건이지만

한국사에서 그 임팩트와 참상은 왜란과 호란은 물론 미국의 대공황 시절도 거뜬히 뛰어넘을 정도의 대참사같은데

왜 한국사 교과서는 물론 공무원 국사시험에서도 이걸 제대로 언급하는 경우가 잘 없을까요?

마치 미국사에서 대공황 시절을 건너뛰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13 13: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건 정말 개인적인 제 생각인데 자연재해라 대기근 전후의 큰 정치적 사건이랑은 크게 연결되지 않아서 인것 같습니다.
자연재해다 보니 정치적 사건이나 사회체제의 모순이 원인도 아니고 만약에 대기근으로 환국이나 반란 시도가 일어났으면 해당 정치적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중요하게 다뤄졌겠지만 말그대로 자연재해라 역사적 관점에선 다룰 내용이 많지 않아서...
24/12/13 13:36
수정 아이콘
경신대기근으로 인하여 정치 사회적으로 큰 사건이나 변화가 있었거나 정치 사회적인 큰 사건으로 경신대기근이 일어났다면 주요하게 배울텐데
그게 아니다보니 주요하게 다루지 않고 넘어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Mini Maggit
24/12/13 13:50
수정 아이콘
정치사에 영향 없는 게 1순위겠지만 역사 공부가 일종의 지적 보험인데 인간 잘잘못 따질 것도 없는 개인 수명 단위 이상 대재난이면 가르쳐 봐야 어차피 대비 못하니까요?
대공황은 메커니즘이 복잡하지만 타임머신 태우면 다같이 비벼볼 일말의 가능성이라도 있고 시장에서 개인적으로 득을 보는 사람들도 있겠고 임진왜란은 원균 대가리 자르면 조금이라도 결과가 나아지겠지만 대기근은 희망이 없으니
백두산 터져서 발해 망했다는 설 안 가르치는 거하고 똑같다고 봅니다
24/12/13 14:16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역사 교육은 정치사 위주로 돌아가고 있고, 당시 국왕이던 현종-숙종 체제가 흔들린 게 아닌 이상 곁다리가 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이러나저러나 역사 교육에서 현종은 예송논쟁 하나로 끝나기도 하구요.
인센스
24/12/13 14:36
수정 아이콘
실제 엄청난 일이 있었던 것과 별개로, 역사서에 기록할 만한 일은 많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역사서에서 삼국지의 조조, 유비, 손권에 대해 배우지 않는 이유는 소설 속 내용이어서가 아니라, 사학적으로는 그렇게 중요한 사건이 아니기 때문인 것처럼요.
시드라
24/12/13 14:46
수정 아이콘
저 시절은 전세계 적으로 소빙하기와 맞물려서 다들 식량이 없어서 난리였던 시절이라
서민 ~ 귀족 할꺼 없이 식량이 부족해서 난리여서 정치적으로, 전쟁적으로 뭘 할때가 아니어서 그랬을 껍니다

수많은 사람이 아사했고, 너무 배가 고파서 부모들이 자녀들을 바꿔서 잡아먹던 시절이다 보니 기록도 상대적으로 적을 꺼고요
24/12/13 15:57
수정 아이콘
시험문제로 내기엔 변별력이 없을거 같긴합니다.
24/12/13 16:03
수정 아이콘
듣고보니 저런 과거도 잘 가르쳐주면 좋겠다 싶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24/12/15 17:22
수정 아이콘
역사적 의미가 있으려면 사회변동을 유발해야합니다. 경신대기근은 끔찍한 대 참사지만 그로 인해 빚어진 사회변동은 별로 없죠.

비교가 되는 부분이, 일본사에서는 비슷한 시기의 텐메이 대기근이 있었는데, 경신대기근에 비하면 규모가 작음에도 잘 다뤄지는건, 텐메이 대기근을 계기로 막부내의 중상파와 중농파 사이의 권력교체가 빚어진지라, 사회변동과 연관이 있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057 [질문] 1월에 일주일 정도 4살 아이와 해외를 간다면..? [19] LG의심장박용택3494 24/12/18 3494
179056 [질문] 보수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51] 나른한우주인5006 24/12/18 5006
179055 [질문] 갤럭시탭 추천부탁드립니다 [8] 유니꽃3859 24/12/17 3859
179054 [질문] 바이오스 진입이 안됩니다. [2] I.O.I2875 24/12/17 2875
179053 [질문] 청와대 국가기밀부서에서 근무하다 퇴직하면 검색엔진에서 검색 시 본인에게 알려줍니까? [38] 교대가즈아5291 24/12/17 5291
179052 [질문] 토스 채권 투자 관련 질문있습니다! [14] 오렌지망고3468 24/12/17 3468
179051 [질문] PC/모니터 구매예정인데 괜찮은지 견적 좀 부탁드려요 [2] 狂夜2675 24/12/17 2675
179050 [질문] 투표조작설은 음모론으로 끝난건가요? [61] 열씨미4212 24/12/17 4212
179049 [질문] TV / PC 사운드바나 스피커 추천 부탁드립니다 [3] Secundo2511 24/12/17 2511
179048 [질문] 기성복 2벌 구매해야하는데 어디가 괜찮을까요? [19] 크음2501 24/12/17 2501
179047 [질문] 10년만에 롤 복귀 질문입니다. [7] 속보2860 24/12/17 2860
179046 [질문] 8인이 할 보드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팜하니2986 24/12/17 2986
179045 [질문] TV 겸용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2] armian2665 24/12/17 2665
179044 [질문] 울산 풀코스 문의 [9] 오징어개임2832 24/12/17 2832
179043 [질문] 세차 언제 하는게 좋을까요? [22] Alcohol bear3695 24/12/17 3695
179042 [질문] 드래곤 라자 내용 중 질문 드립니다. [9] 경마장9번마2966 24/12/17 2966
179041 [질문] 방탈출 게임 기획에 쓸만한 어플이나 프로그램? [6] 엔지니어2677 24/12/17 2677
179040 [질문] 오토바이 접촉사고 질문입니다. [11] 트리거2973 24/12/17 2973
179039 [질문] 복도식 아파트 스티로폼 박스에 3일간 있던 모짜렐라 치즈 괜찮을까요? [9] Succession3676 24/12/17 3676
179038 [삭제예정] 일본어 듣기에 대한 조언을 구합니다. [5] 2877 24/12/17 2877
179037 [질문] 연금계좌 질문입니다. [4] Alfine3188 24/12/16 3188
179036 [질문] 일본사람 선물용 김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로각좁3000 24/12/16 3000
179035 [질문] 중학교 진학하는 남자 조카 선물 문의입니다. [10] interconnect2859 24/12/16 28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