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9/18 04:16:26
Name Dj KOZE
Link #1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91843757
Subject [일반] 미국이 금리인상 안 하기로 결정했네요.

17일에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에서 현 기준금리를 그대로 두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표결 결과는 9(동결) 대 1(인상)로 나타났다고 하네요.

한경의 기사에 따르면  다음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는 다음달 또는 12월로 미뤄지게됬고,
옐런연준 의장 역시 기자회견에서 "10월에 금리인상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언제까지 미국이 현 금리를 유지할지는 모르겠지만 한숨 돌리게 만드는 소식이네요. 

여담으로 트위터 반응중에 어느 분이 남기신 트윗이 흥미로워서 퍼옵니다. 

어느 분이 경제관련 강연을 했는데 방청객 질문 타임에 1번으로 나온 등산복 착용을 하신 60대 남성분께서  
"미국 금리 인상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그래서 아파트를 사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라는 질문을 했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켈로그김
15/09/18 04:2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지금 대출받은거 9월말에 연장하는데,
금리가 낮춰져서 행복해요.
0.4~0.5%떨어졌네요..
soleil79
15/09/18 06:05
수정 아이콘
차라리 지금 올려야 할텐데.
최상의 시나리오가 0.1% 인상이였눈데 동결이라니.
내일 주식시장 타격좀 받겠네요.
야간 선물도 보니 밤에 상승분 고대로 반납했던데.
밀물썰물
15/09/18 07:18
수정 아이콘
>"미국 금리 인상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그래서 아파트를 사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정말로 실질적인 질문이네요. 사실 많은 사람이 금리 인상 하든지 말든지 모르겠는데, 그래서 아파트 사란 말이야 말란 말이야? 할 수 있겠지요.

제가 여기에 답하자면, 조심해서 하세요 하겠습니다. 60대 이시면 욕심을 좀 접으시면 어떨까 합니다.
젊은 사람들 힘들다고 하는데 60대분까지 같이 쌩쌩하게 하시면 보기가 좀... 어쩌면 그집안의 젊은 사람을 위해서 예를 들어 자제분 집하나 좋은 타이밍에 마련해드리려고 그러시는지도 모르고.


아침에 어제 미국 주식시장을 보니 옆으로 가다가 오후 세시경 갑자기 한번 엄청 올랐다 바로 다 떨어져버렸네요.
옵숀 만료일이라 금리도 안올린다 하니 그냥 올르고 끝날 수 있었을 텐데 그냥 다 떨어져 버렸어요. 금리를 올려도 안올려도 다 불안하긴 마찬가지 아닌가 합니다.
Elvenblood
15/09/18 08:31
수정 아이콘
이미 이번주 초부터 사람들이 금리 동결을 거의 예상하고 증시가 엄청 올랐죠. 살짝 correction이 들어갔다가 내일 다시 상승할꺼 같습니다.
Elvenblood
15/09/18 08:33
수정 아이콘
사실 모두들 예상하고 있는 결과죠, 신기한 점은 헤지펀드들이 10월 FOMC 프리미엄을 다시 사러 왔다는 점이네요. 개인적으로 저는 10월은 아웃이고 12월에야 가능성이 이싿고 보는데, 과연 내일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자판기냉커피
15/09/18 10:43
수정 아이콘
경제에 약해서 그러는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무슨일이 발생하는건가요?
15/09/18 11:07
수정 아이콘
저도 경제 문외한이라 뉴스만 보고 그렇구나~ 하지만
저 60대 어르신이 걱정하는것처럼 미쿡에 따라 우리나라 금리도 오르니 대출등에서 어렵다는거죠.
야근왕오버워킹
15/09/18 11:44
수정 아이콘
https://ppt21.com../?b=8&n=60976

바로 전 페이지에 어제 Elvenblood 님이 써주신 글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저도 많이 도움이 됐어요~
솔로10년차
15/09/18 11:51
수정 아이콘
어디든 금리가 오른다는 건 돈을 입금하면 이자를 많이 준다는 거니 그 쪽으로 돈이 흡수되죠. 거기에 입금하려하거나, 거기서 대출받은 자본은 이자이득이나 부담이 커지니까 은행에 돈을 넣으려고 하는거죠.
그럼 그 돈은 다른 곳에 투자된 돈일 가능성이 크고(자본을 놀릴 일이 없으니까요.), 투자된 돈을 회수해서 은행으로 가게되는데, 그 투자처 중에 한국도 있을테고, 한국에 들어온 외국 자본도 빠져나가기 때문에(이 과정에서 원화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오르게됩니다.) 우리나라도 이율을 올려서 대응하게 되는 거죠.
그래서 우리나라 이율이 오르면 결국 대출받아서 부동산을 구입하는 경우 이자부담이 커지게되고, 그러니 부동산을 구입하지 않으려하거나, 이미 부동산을 구입한 경우 대출을 갚기 위해 도로 팔려고 하니... 수요보다 공급이 커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031 [일반] [1][우왕] 하늘은 까맸고 우리 손은 빨갰다 [98] Eternity12313 15/09/19 12313 138
61030 [일반] 미국환경청이 폭스바겐의 부정행위를 적발하였습니다 [29] 하얀마녀9643 15/09/19 9643 3
61029 [일반] [1][우왕]도서정가제.. 살려주세요.. (책 가격은 왜 안 내려가는가?) [112] 스테비아157451 15/09/19 157451 73
61027 [일반] 스알못의 IT 스타트업 잡담 - 2편 [5] 츄지Heart3317 15/09/19 3317 2
61026 [일반] [1][우왕] <후크> - 걸작으로 남은 스필버그의 흑역사 [48] 마스터충달7350 15/09/19 7350 24
61025 [일반] 친구가 소개팅한 이야기. [22] Love&Hate15110 15/09/19 15110 39
61024 [일반] [1][우왕] 자전거 [8] 박재현3601 15/09/19 3601 24
61023 [일반] 명절증후군 2탄 [21] 삭제됨4869 15/09/19 4869 9
61022 [일반] 고양원더스를 다시 생각하다 [293] 자전거도둑17174 15/09/19 17174 13
61021 [일반] [1][우왕]술이야기-발효주 1. 원론 [11] 3213 15/09/19 3213 9
61020 [일반] 아베 정권의 평화헌법 무력화 [55] 삭제됨5509 15/09/19 5509 0
61019 [일반] 마마무로 보는 걸그룹 미드필더론 [9] 좋아요6401 15/09/19 6401 5
61018 [일반] 두 형제 이야기 - 신축옥사, 장희빈의 아들 [16] 눈시BBand6744 15/09/19 6744 10
61017 [일반] 명절증후군 [118] 삭제됨7797 15/09/19 7797 36
61016 [일반] 글 써서 남 주기 대회 중간 집계 (9/27까지) [5] OrBef3808 15/09/18 3808 0
61015 [일반] 410년, 로마의 약탈에 대해 알아보니 후덜덜했더군요 [10] 삭제됨7451 15/09/18 7451 2
61014 [일반] [1][우왕]걸그룹 여자친구의 꽈당무대 따져보기 [19] 좋아요5973 15/09/18 5973 9
61013 [일반] iOS 9에 대한 음모론? 소설? or anything [7] AirQuick7154 15/09/18 7154 2
61011 [일반] 소설 삼국연의, 어떤 번역본을 고를까? [53] 靑龍23334 15/09/18 23334 12
61010 [일반] 정정당당하게 얻어낸 승리의 기쁨 [14] 만트리안4292 15/09/18 4292 7
61009 [일반] [1][우왕] 야동찬가, 깊은 좌절 [137] 남극소년17368 15/09/18 17368 132
61008 [일반] 장기렌터카 사용시 주의사항(기존 단기렌트도 비슷할듯 싶습니다) [3] 秀峨7433 15/09/18 7433 2
61006 [일반] [취준] 대기업 정규직 전환 인턴.. 최종 탈락 [38] 뀨뀨14262 15/09/18 1426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