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12 20:02:00
Name Neandertal
Subject [일반] 토성의 고리도 파도타기를 할 줄 안답니다...

토성...


태양계 내의 행성들은 어떤 의미로든 모두 신기하고 경이롭지만 그 가운데서도 가장 우리의 눈을 잡아끄는 놈을 하나 골라보라면 바로 토성의 고리일 것입니다. 고리야 목성도 가지고 있고 천왕성도 가지고 있지만 어딜 보더라도 토성의 고리와는 비교 불가지요. 많은 천문학자들이 천문학을 하겠다고 결심하게 되는 계기가 어렸을 때 천체 망원경으로 처음 토성을 보고나서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만큼 우리를 잡아끄는 매력이 토성과 토성의 고리에 있다는 얘기겠지요.



토성의 고리...


토성의 고리는 전체가 하나로 구성된 플라스틱 같은 딱딱한 고체가 아닙니다. 그랬다간 당장에 산산조각이 났겠지요. 왜냐하면 안쪽이 바깥쪽보다 더 빨리 도니까요. 토성의 고리는 셀 수 없이 많은 얼음 조각들로 구성이 되어 있고 각각의 얼음 조각들이 독립적으로 토성의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토성의 고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단 폭은 약 250,000km 정도입니다. 토성을 지구와 달의 중간 지점에 갖다 놓으면 토성의 고리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의 약 3분의 2를 차지할 거라고 합니다. 그런데 고리의 두께는 어느 정도나 될까요? 100km?, 500km?...아닙니다. 토성 고리의 두께는 평균적으로 약 10미터 정도라고 합니다. 예, 맞습니다. 10km 아니고요 10 미.터. 우사인 볼트가 100미터 세계 신기록 세울 때 달렸던 거리의 10분의 1 정도 말입니다. 우리가 사무실에서 흔하게 쓰는 A4 용지를 토성의 고리 크기로 키우면 그 두께가 지금의 토성의 고리보다 약 1,000배는 더 두꺼울 거라고 하는군요.







토성 고리의 기원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다고 합니다. 토성 생성 초기에 얼음으로 된 위성이 충돌로 인해서 산산 조각이 나고 그 조각들이 토성 주위를 돌면서 펴져서 지금의 고리가 형성되었다는 이론도 있고 아니면 토성 생성 초기에 아주 큰 위성이 토성 근처에 있었는데 암석 물질들은 중심 핵 쪽으로 가라앉고 얼음 성분들은 표면 쪽으로 올라온 상태에서 초기 생성 중이던 토성의 영향으로 표면 쪽의 얼음 성분들이 이 위성에서 감귤 껍질 벗겨지듯 벗겨지면서 고리가 생성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이론도 있다고 하네요.

토성의 고리들은 발견된 순서에 따라 A고리, B고리, C고리...이런 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B 고리가 폭이 제일 크고 가장 밝습니다. B고리의 폭은 약 26,000km 정도입니다. A고리는 B고리 밖에 위치하고 있고 C고리는 B고리 안쪽에 자리 잡았는데 상대적으로 희미합니다.





A고리와 B고리 사이의 두드려져 보이는 빈 공간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카시니 디비전(Cassini Division)이라고 불리는 데 폭은 약 5,000km 정도입니다. 사실 이 부분도 텅 빈 공간은 아니고 아주 작은 폭의 고리들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공간이 생긴 이유는 토성의 위성 가운데 하나인 미마스(Mimas)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위성은 마치 스타워즈 영화에 나오는 데스스타 닮았다고 해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위성이기도 한데 이 위성의 영향으로 카시니 디비전 안에 위치한 얼음 조각들이 자꾸 자신들의 공전 궤도에서 밖으로 끌려 나오게 되면서 이러한 공간이 생겼다고 하네요.





위장막 둘러쓴 데스스타...빰빰빰~빰빠밤~빰빠밤~!!!


그리고 토성의 고리를 구성하는 얼음 조각들이 파도타기도 한다는 거 아세요? 마치 상암 월드컵 경기장에서 우리 국가대표팀의 경기가 지루해 질 때쯤이면 관중들이 티켓 값이 아까워서 셀프 여흥이라도 즐겨야지 그냥은 못 가겠다는 듯 파도타기 응원을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물론 토성 고리의 얼음 조각들은 자신들이 원해서 그런 행동을 하는 건 아닙니다만...--;;;

토성의 F고리는 A고리 바깥에 있는 아주 폭이 좁은 고리입니다. 폭이 약 수백 킬로미터 정도밖에 되질 않는데 이 고리를 구성하고 있는 얼음 조각들은 토성의 두 개의 위성에 붙들려 있습니다. 그 위성들 가운데 하나는 프로메테우스이고 다른 하나는 판도라입니다(예,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 아바타는 토성의 위성을 배경으로 해서 만들어진...쿨럭...--;;;). 이 두 위성들은 하나는 링 안쪽에 하나는 링 바깥쪽에 위치해 있는데 이 두 놈들이 지나가면서 링을 구성하는 구성 물질들과 서로 작용을 하면 링에 있는 얼음 조각들이 마치 파도타기를 하는 것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파도타기...오~! 필승 코리아!!!


정말 신기하지 않습니까? 웜홀을 통해서 저 멀리까지 안 가도 우리 태양계 안에서도 신기한 놈들이 차고 넘치는 것 같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아래 주소의 유튜브 동영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해서 쓰였으며 본문의 이미지들 가운데 대부분은 역시 같은 동영상에서 갈무리한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8GNde5nCSg&list=PL8dPuuaLjXtPAJr1ysd5yGIyiSFuh0mIL&index=18]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지알누리꾼
15/06/12 20:09
수정 아이콘
https://ppt21.com../?b=10&n=243416
평소에 네덜란드님이 올려주시는 우주 관련 글들 잘 보고 있는데요. 위 주제로 쓰신 글이 보고 싶어 이렇게 댓글을 남깁니다...
Neandertal
15/06/12 21:58
수정 아이콘
죄송하지만 저는 지일파라서...shk*, ad*...attack***...
15/06/12 20:15
수정 아이콘
어릴때 아동과학교양서적에서 토성고리를 태양계의 하드(아이스크림)으로 표현했던 게 기억나네요...
여자친구
15/06/12 20:20
수정 아이콘
이건 추천이죠
마스터충달
15/06/12 21:16
수정 아이콘
엄청 얇군요;;;
Neandertal
15/06/12 21:19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엔 10미터라고 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마스터충달
15/06/12 21:27
수정 아이콘
흐흐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 재밌는 글 정말 고맙습니다!
BravelyDefault
15/06/12 21:21
수정 아이콘
죽기 전에 토성 고리 눈으로 볼 수 있을까요...
우주 이야기 좋아하는데, 내 눈으로 못 보니 과학자들 수첩 속에서만 존재하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비싼 망원경이라도 사고 싶어요...
Neandertal
15/06/12 21:29
수정 아이콘
사실 인간들 가운데 어느 누구도 직접 실물을 본 사람은 없죠.
15/06/12 21:24
수정 아이콘
캬.. 10미터라니.. 비겟네요
15/06/12 23:07
수정 아이콘
항상 네덜란드님의 글 잘읽고있습니다
두께 10미터는 좀 충격이네요
몽키.D.루피
15/06/12 23:38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 미술시간에 우주 그림을 그리면 꼭 토성을 그려줘야 진짜 우주같았죠. 그만큼 우주풍경의 상징과도 같은 행성이라고 봅니다. 목성이 가족들 먹여살리는 우직한 큰형님이라면 토성은 패셔니스타 둘째형님 같은 느낌이랄까..
뿌지직
15/06/12 23:49
수정 아이콘
10m 확실한가요?? 얼음덩어리만 해도 10m 넘어가는거 많을거 같은데..
Neandertal
15/06/12 23:54
수정 아이콘
밑에 링크된 동영상에서 해설하시는 민두노총 아저씨가 거듭 강조해서 말씀하시더군요...Ten meters, Ten meters...--;;;
아이부리
15/06/13 08:19
수정 아이콘
항상 글 잘 읽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부탁드려요!
지하생활자
15/06/13 08:37
수정 아이콘
10미터는 어떻게 측정한거지요?
대체 어떻게 계산한거지.. 뭘 가지고..
Neandertal
15/06/13 08:45
수정 아이콘
저도 어떻게 측정한 지는 모르겠지만 토성의 주(main) 고리의 평균 두께는 30 feet 그러니까 약 10미터 정도가 맞다고 합니다. 일부 고리들의 두께는 수 킬로미터가 되기도 한다고 하네요.
치킨과맥너겟
15/06/13 10:27
수정 아이콘
다음번엔 블랙홀 분석 부탁드립니다
Neandertal
15/06/13 10:38
수정 아이콘
제가 분석하는 게 아니라 본문에 링크된 동영상의 천문학자님께서 유튜브에 관련 주제를 올려 주셔야...--;;;
치킨과맥너겟
15/06/13 10:41
수정 아이콘
아쉽군요 흐흐
15/06/13 10:53
수정 아이콘
10미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648 [일반] 배창호 감독, 지하철역서 철로 추락..타박상 치료중(종합) [4] 효연광팬세우실6672 15/06/01 6672 0
58647 [일반] 지구는 왜 달을 달달 볶았나?... [54] Neandertal10604 15/06/01 10604 33
58646 [일반] 조용히 하자. 떠들지 말자. [9] Sheldon Cooper6543 15/06/01 6543 12
58645 [일반] 진행 상황 유출 [174] 박진호20999 15/06/01 20999 44
58644 [일반] [영어] 밖에서 술 마시기 좋은 여름! [8] 훈련중6587 15/06/01 6587 10
58642 댓글잠금 [일반] {} [108] 삭제됨9451 15/06/01 9451 15
58641 [일반] 원숭이도 6월전에 글이 올라와야 된다는건 압니다. [103] Leeka13548 15/06/01 13548 215
58640 [일반] 2015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8강 [11] 루비아이4584 15/05/31 4584 2
58639 [일반] 메르스 환자 2명 위독·3명은 불안정 치료에 총력 [50] Vibe8335 15/05/31 8335 1
58638 [일반] 유게글이 정말로 삭제 된것이 유머!!! [199] 파란만장11300 15/05/31 11300 9
58637 [일반] 책장 속 나의 장르서적들 - 절판된 책... [13] 트루키4175 15/05/31 4175 1
58636 [일반] 일본) 도쿄역 코인로커에서 시체 발견 [12] 여자친구10599 15/05/31 10599 0
58635 [일반] 프로레슬링에는 이런 경기도 있다 - 시바타 카츠요리 VS 이시이 토모히로 [10] 삭제됨5003 15/05/31 5003 1
58634 [일반] 500원 두 개의 용기. [37] 파우스트7175 15/05/31 7175 5
58633 [일반] 고속버스를 타다 짜증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28] 강원스톼일13439 15/05/31 13439 2
58632 [일반] 2015걸그룹 안무 간단 감상평(언급 자주 안한 팀들만) [20] 좋아요5613 15/05/31 5613 2
58631 [일반] console.mihai(); [9] 랜덤여신13211 15/05/31 13211 45
58630 [일반] 음악가로서 독일에서 자리잡기...(본거 위주,,,) [17] 표절작곡가10267 15/05/31 10267 3
58629 [일반] [스포주의] WWE PPV 엘리미네이션 챔버 2015 최종확정 대진표 [8] SHIELD4705 15/05/31 4705 0
58628 [일반] 이승엽 선수의 400호 홈런볼을 잡게 된다면: 기증할 것인가, 팔 것인가? [48] 김승남7372 15/05/31 7372 0
58627 [일반] [해축] 아스날의 FA컵 우승, 그리고 시즌 결산 [46] pioren5595 15/05/31 5595 2
58626 [일반] [역사] 어느 양심 있는 영국인.txt [43] aurelius8799 15/05/31 8799 6
58625 [일반] 바르셀로나 3-1로 코파델로이 우승.avi [35] 여자친구8180 15/05/31 8180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