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02 18:55:57
Name 미스터H
Subject [일반] [펌] 노환규 전 의협회장이 말하는 ‘메르스’
노환규 전 의협회장이 말하는 ‘메르스’


http://slownews.kr/41630

2015년 6월 2일 오전 9시 버전입니다.

1. 메르스의 사망률에 대해

이변은 없었습니다. 국내에서 벌써 2명의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첫 감염자가 생긴 지 열흘이 지나도록 사망자가 없고 한 사람이 20여 명의 사람에게 전파하는 등 높은 감염력을 보이자 변이를 일으킨 변종 바이러스가 출현한 것 아닌가 하는 조심스러운 예측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25명의 확진 환자 중 2명이 사망하여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습니다.

사망 환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여성 (57세): 천식, 고혈압, 의인성 쿠싱 증후군(관절염에 의한 스테로이드 복용이 원인) 등의 기저질환이 있었던 분입니다. 최초 감염환자와 병원에서 접촉했었으며 사망 후에 메르스 확진 판정이 되었습니다.
남성 (71세):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자로 2011년 신장암으로 인해 신장적출술을 받은 분이었습니다. 역시 최초 감염환자와 같은 병원에서 접촉했었으며 사망 전에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한때 사망률 100%로 알려져 극도의 공포를 몰고 왔던 에볼라 바이러스는 여러 아형(subtype)을 가지고 수년에 한 번씩 창궐하고 있는데, 아형에 따라 사망률이 다르지만(25~90%) 가장 최근 기니아와 시에라리온 등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창궐하는 에볼라는 2015년 5월 24일을 기준으로 27,049명이 감염되어 11,149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41.2%의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현재까지 40% 가까운 사망률을 보이는 메르스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아프리카보다 중동지역 의료서비스의 접근성과 시설이 낫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메르스의 치명성은 오히려 에볼라보다도 높을 수도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부에서 말하는 “메르스는 조금 심한 독감”이라고 과소평가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사망률로만 보자면 메르스의 사망률(40%)은 독감(0.1%)의 약 400배에 달합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3차 감염자가 확인된 만큼 메르스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합니다.

2. 메르스가 우리나라에서 급속히 퍼지는 이유

이미 언론에서 여러 차례 보도된 바와 같이 유독 우리나라에서 메르스는 급속한 확산을 보입니다. 크게 세 가지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정부의 안이하고 무지한 대처 때문이고,
둘째는 “나는 괜찮겠지”라는 안이한 시민의식 때문이며,
셋째는 여러 환자가 한 공간을 공유하여 진료를 받는 의료환경의 특성 때문입니다.
정부의 초기대응 허점은 이미 많이 알려졌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가 의심된다는 의사의 보고를 지속해서 무시했을뿐더러 “메르스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당신이 책임져라”는 망언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메르스 진단키트는 지금까지도 질병관리본부에서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메르스로 확진된 이후에도 접촉자들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하여 많은 2차 감염자를 양산했을뿐더러 격리대상자를 출국시켜 국제적 망신을 샀습니다.

메르스가 확산 일로에 있고 메르스 관련 공포가 증대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도 지정진료병원을 밝히지 않아 메르스 의심 환자들이 우왕좌왕하고 있으며 진단장비나 격리시설을 갖추지 않은 일반 병·의원을 찾고 있는 실정입니다. 정부가 2차, 3차 감염을 부추기는 꼴입니다. 또한, 메르스 진단키트를 대학병원에 제공하지 않아 대형병원에서도 애를 먹고 있습니다.

3. 메르스의 감염력에 대해

아래 첨부한 그래프는 WHO에서 지난 2월 5일을 기준으로 발표한 메르스의 발생 그래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메르스는 이 그래프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메르스의 전파속도가 빠르고 메르스가 치명적이지만 메르스가 처음 발견된 이후 약 2년 반 동안 전 세계적으로 1천여 명이 감염되고 400여 명이 사망하였으며 메르스의 3차 감염은 매우 적어서 2009년 신종플루처럼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나친 염려나 동요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전문가들로 포진된 정부의 허술한 대응으로 인해 국민뿐 아니라 의료진의 불안감도 큰 것이 사실입니다.

4. 되풀이되는 비전문가의 실수

신종플루가 유행했던 2009년,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하여 타미플루와 백신 확보에 총력을 다해왔던 선진국과 달리 당시 우리나라는 WHO 권장치의 1/4 수준인 전체 인구의 5% 정도의 타미플루만을 확보했을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백신 보유량은 전무한 상황이었습니다.

신종플루가 전국적으로 확산이 된 다음에서야 정부는 예산을 새로 책정한다며 호들갑을 떨었고,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제특허를 무시하고 타미플루 복제약을 만들겠다는 황당한 발언을 하여 국제적 망신을 샀었습니다. 질병관리본부장이 직접 외국으로 나가 백신 확보를 위해 구걸협상을 하겠다는 등, 일사불란하게 진두지휘를 해야 할 정부가 뒤늦게 뒷북을 치는 모습을 보여 국민의 불안감을 가중시켰습니다.

초기 대응단계뿐 아니라 그 후의 대책도 대단히 실망스러웠습니다. 보건복지부는 뒤늦게 거점병원과 일반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진료하도록 한다는 발표를 하였지만, 거점병원으로 지정된 병원마저도 제대로 된 인력이나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반강제적으로 지정되었고, 일반의료기관 역시 지침만 하달받았을 뿐 정부로부터 어떠한 안전대책이나 제도적 지원 없이 진료를 강요받아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대단히 큰 혼란이 발생하였습니다. 심지어 의료진에게조차 타미플루가 공급되지 않았습니다.

보건복지부 장관은 경제학과 출신의 경제학자이고, 보건복지부 차관은 법대 출신에 사회복지를 전공한 분입니다. 이런 비전문가들이 국가 의료 위기 상황 때마다 우왕좌왕하고 있습니다. 위기 상황은 닥친 후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대응해야 하는 일입니다. 아무런 전문성을 갖지 못한 보건복지부 장관과 차관은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지고 물러나야 합니다. 보건당국에 보건전문가가 없는 상황을 더는 방치할 수 없습니다.


2015년 6월 1일 낮 버전입니다.

이런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8개월 아기를 키우는 엄마입니다. 메르스 때문에 지금 엄마들 카페에선 여행을 취소하네, 문화센터를 취소하네, 대중교통도 이용 못 하겠고 집에만 있어야겠다는 말들이 많습니다. 모 의사 선생님 페북엔 그냥 좀 심한 독감일 뿐이다ㅡ라는 글이 올라와 욕 좀 드신 것 같고요. 실제로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 얼마나 조심해야 하는 건인지 궁금해서 실례를 무릅쓰고 메시지 보냅니다.”

제가 감염내과 전문의는 아니지만, 의사들의 의견을 모아 답변 드립니다.

1. 위험성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는 2012년 4월 최초 환자가 보고된 이후 올해 5월까지 24개국에서 1,154명이 발생해 이 중 43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사망률이 약 40% 가까이 이르고 백신과 치료 약이 없어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감염환자(오늘 현재 18명) 중 사망자는 아직 없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 퍼진 메르스가 기존의 바이러스와 달리 그사이 변이를 일으킨 변종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정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경증환자도 있으나 패혈증 증세에 이르는 등 중증감염자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사망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위험성을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입니다. 조금 전 우리나라 감염환자 중 심폐기능을 대신하는 에크모(ECMO; 체외 막산 소화장치)를 장착한 환자가 있다는 뉴스가 올라왔습니다.

2. 전염성

지금까지 메르스는 ‘친밀한 접촉(close contact)’에 의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졌었습니다. 그래서 환자 1인의 평균전염률이 1명 이하로 평가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최초 감염자 1인과 관련한 환자가 15명에 이릅니다. 즉 최초 1인이 14명을 전염시킨 것입니다. 기존 메르스와 달리 감염력이 매우 높고 직접 접촉하지 않은 사람들도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어 공기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아직 사망자가 나오지 않았고 전파 양상이 다른 것이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을 의심하기 하는 또 하나의 대목입니다. 그러나 아직 초기라서 이 역시 판단하기에 이릅니다.

3. 예방

최초로 메르스에 감염되어 입국한 사람과 같은 비행기를 타고 온 사람들, 그가 방문한 진료공간에 함께 있었던 사람들, 최초 감염자에 의해 감염된 2차 감염자와 같은 공간에 있었거나 접촉한 사람들은 매우 많을 것입니다. 전염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지만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사람들의 숫자를 모두 고려한다면 실제 감염된 환자의 숫자는 여전히 소수입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사람들이 모이는 학교, 문화센터, 대중교통까지 회피할 상황은 아직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이런 곳을 피하기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손 씻기’입니다. 의사들이 권고하는 예방을 위한 조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비누 손씻기

외출 후 반드시 손목 위까지 손을 충분히 씻는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가는 경우 마스크(가능하면 N95)를 착용한다.
면역력 약화를 예방하기 위해 폭주를 삼간다.
아직 외국여행을 취소할 필요는 없다. 다만 공항과 항공기에서 마스크를 쓰는 것은 감염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예방 음식 ? 특별한 것 없다. 잘 먹고, 잘 자면 된다.
만성질환자 ? 발병과 진행은 면역력과 관련이 있으므로 당뇨 등 만성질환이 있는 분들은 기존의 만성질환 치료와 예방에 특히 더 신경 쓰는 것이 좋다. 고령자도 예방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4. 감염이 의심되면?

동네의원에서는 메르스를 진단할 방법이 아직 없습니다. 게다가 방문한 환자가 나중에 메르스 환자로 확진되면 의사는 격리되어야 하고 동네의원도 2주간 문을 닫아야 하므로 환영받지 못할 것입니다. 감염이 의심된다면 보건소에 전화하신 후 안내를 받으셔야 합니다.

메르스 감염환자에 의한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정부에서 지역 거점 병원을 운영하여 메르스 의심 환자를 해당 병원에서 집중적으로 진단, 치료할 수 있게 해야 하는데 그런 준비가 미진합니다. 그리고 보건소가 원래 그런 기능을 해야 하는데 저가진료를 통해 지자체의 선심행정의 홍보역할만 하고 있어 의사들이 분개하고 있습니다.

이상의 권고사항은 앞으로 메르스의 전파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6월 1일 낮 버전)을 쓴지 5시간 만에 첫 번때 감염자와 접촉한 50대 여성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올라왔네요. 확진환자로 분류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합니다. 안타깝습니다. 사망환자와 관련한 상세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2015년 5월 31일 의사협회 회관 7층 사석홀에서 열린 메르스 대책 보건의료단체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긴급 대응책 마련과 무관한 건강보험공단 이사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그리고 메르스 대책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병원(경영자)협회, 제약(산업)협회 대표자들도 함께 참석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모아놓고 비전문가인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에 앉아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실무대책회의가 아니라 보여주기 위한 전형적 전시행정이라고 생각합니다.

------

노환규 전 의협회장이 소개한 메르스가 가장 중도적이고 공정한 시각에서 말하고 있는 현 상황 같습니다.
단순한 감기다 독감이다 안심하라 하는거 보다...

그나저나 지금 상황이 터졌는데도 아직도 제대로 된 진단키트를 일선 병원에 제공을 안하고 있었군요.
이런식으로 주먹구구로 돌아갈거면 보건복지부는 왜 있고 질병관리본부는 왜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하기사 에크모 했다고 삭감걱정해야 하는 댓글이 피지알에서 달린거 보고 비 의료인이지만 충격받긴 했습니다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영원한초보
15/06/02 19:06
수정 아이콘
왜 질병관리본부는 이런식으로 브리핑 안하나요?
정부는 세월호때와 마찬가지로 유언비어 처벌에 힘주어 말하고요
D.레오
15/06/02 19:07
수정 아이콘
결국 현 사태의 가장 큰원인은 질본 즉 정부임..
15/06/02 19:12
수정 아이콘
지인인 보건 공무원의 말에 따르면 질본이 노답이라고 합니다.... 에혀....
거문비
15/06/02 19:16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보건복지부 장관이 의사 출신이 아니군요. 보건복지부 장관이라면 당연히 의학지식이 있는 사람을 뽑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호구미
15/06/02 19:19
수정 아이콘
보건과 복지에 둘다 정통한 사람은 거의 없죠. 문제가 있다면 괜히 둘을 합쳐놓은 게 문제 같습니다.
덴드로븀
15/06/02 19:22
수정 아이콘
보건의료/사회복지/인구정책 등 총괄적인 부서라서 당연히라는건 좀 어울리진 않지만... 지금같은때에는 참 아쉽죠. 연금개혁때문에 지금의 보건복지부 장관을 내세운게 클겁니다.
소독용 에탄올
15/06/02 20:23
수정 아이콘
장관이야 사실 '조직관리'랑 해당시기 추진중인 가장 주요한 사업관련 진행 정도를 하는 양반입니다.
한국도 관료제를 굴리고 있고, 의학지식을 가진 양반들이 보건복지부 내부에 있을터인지라 장관양반의 의학지식 여부가 중요한것은 아니죠.
애초에 장관이란 자리가 해당 부서마다 있는 실무자+전문가 양반들의 보고를 받고 필요한 자원을 융통하는 정도의 '활동'이 기대되는 자리고,
문제생겼을때 사과하고 책임지는 정도만 하면 되는 위치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시스템'입니다.
토다기
15/06/02 22:14
수정 아이콘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잘했다는 이야기를 듣는 유시민 전 장관도 의학지식은 없는 걸로...
북두가슴곰
15/06/02 19:16
수정 아이콘
밑글에서 말하는 공기 감염을 여기서도 의심하고 있군요.
Rorschach
15/06/02 19:23
수정 아이콘
동일 병동에 있었던 사람들이 10명이 넘게 2차감염이 됐는데 사실 공기 감염을 의심안하는게 더 이상하죠. 아니었으면 좋겠지만...
15/06/02 19:1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건 야당 탓이 되려나요 흐흐
순뎅순뎅
15/06/02 19:55
수정 아이콘
설문조사 해 보면 압니다. 당연히 야당이 발목을 잡아서 그렇죠.
Otherwise
15/06/02 21:29
수정 아이콘
더 나아가면 노무현 떄문이라 하겠죠..
Shandris
15/06/02 19:19
수정 아이콘
키트는 임상실험 단계라고 하니까요. 물론 에볼라 사태 때 인체실험을 거치지 않은 치료제를 투여한 적이 있지만 이것 역시 긴급한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쓰인거고...
수지느
15/06/02 19:25
수정 아이콘
인당 0.6명의 전염성이던 병이 5명이상 전염을 시켰을때 그냥 그사람만 특별한거라고 낙관론만 펼쳐댔으니 초기에 막을수가없었죠

고온건조라는 족쇄에서 벗어나서 공기전파가 가능해졌거나 변이가 있어서 공기전파특성을 가졌을수도있다고 예상하고 대응을했어야되는데 끝까지 슈퍼캐리어 슈퍼스프레드 타령을 했으니..

그나저나 초등생 두명도 확진이떴다는 루머같은 루머가있던데 진짜 루머였으면 좋겠네요 ㅜㅜ
Michel de laf Heaven
15/06/02 20:56
수정 아이콘
질병관리본부는 검역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있는 기관이랍니다
토다기
15/06/02 22:15
수정 아이콘
가장 읽을만한 글인 거 같습니다.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을 해야겠네요. 지금 당장은
15/06/02 22:27
수정 아이콘
은근슬쩍, 아니 대놓고 여러곳에서 정부를 정확하게 잘 까고 있네요. 아주 흡족합니다.
하얀마녀
15/06/02 23:36
수정 아이콘
강경노선으로 당선됐다가, 강경노선으로 망한 양반입니다.
15/06/02 23: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아직 지지자 중 한사람입니다.
하얀마녀
15/06/02 23:48
수정 아이콘
저는 이 양반이 SNS만 지금의 절반으로 했으면 반대는 안했을 것 같습니다
15/06/02 22:32
수정 아이콘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고 해서 뭐 달라질게 있나 싶습니다. 할 수 있는 일은 별 차이 없을거 같아요. 의심되면 무조건 격리, 증상이 심하면 대증요법.
신사초야
15/06/03 00:25
수정 아이콘
장관은 경제학자출신이고 차관은 법대출신이라...
장관을 연금개혁쪽으로 내세우기위해 경제학자 출신으로 내세웠다면 당연히 차관은 의료쪽으로 내세워서 둘중하나는 당연히 의료쪽으로 해야하는게 맞느거 아닐까요...?
아무리 책임지고 사퇴하면 될일이겠지만 당장 사건터졌는데 위에서 우왕자왕하는 모습이 눈에 선한데요...

일차적인 문제는 인사권실패고 두번째는 시스템같습니다
적어도 둘중하나가 의료쪽이었다면 사태의 심각성을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빨리 파악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Ms.Hudson
15/06/03 02:35
수정 아이콘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가 의심된다는 의사의 보고를 지속해서 무시했을뿐더러 “메르스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당신이 책임져라”는 망언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거 사실인가요?!?!
미스터H
15/06/03 02:41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도 사실입니다...
15/06/03 11:23
수정 아이콘
사실이죠...
공무원에 대해 다시한번 분통터진 일이었습니다
15/06/03 13:12
수정 아이콘
네... 사실이기도하고,
저런 경우가 꽤 흔하다는게 일반 시민들의 선입견이기도 합니다.

(논외로 그런 이유로 큰 정부 큰 복지론이 씨도 안먹히는거기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724 [일반] [펌] 우리 민족의 진실이 담긴 역사서. 단기고사 [49] 눈시BBand9683 15/06/03 9683 10
58722 [일반] 목성은 가스 덩어리니까 그냥 가운데로 통과할 수 있지 않을까?... [42] Neandertal11178 15/06/03 11178 38
58721 [일반] 레알 마드리드 라커룸의 전설적인 일화 - 아넬카 사건. [24] 삭제됨12903 15/06/03 12903 1
58719 [일반] [오피셜] 라파엘 베니테즈 레알 마드리드 감독 부임 [55] 고윤하6344 15/06/03 6344 0
58718 [일반] 잡설 #01 온라인과 광고 [6] Secundo3034 15/06/03 3034 1
58717 [일반] 대한민국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자수성가 부자 Top10 [21] 김치찌개7769 15/06/03 7769 1
58716 [일반] 전 세계에서 20년 전 가장 많은 국방비를 지출했던 국가 Top10 [7] 김치찌개3727 15/06/03 3727 0
58715 [일반] 온라인 상에 KF94 마스크와 손 소독제가 빠르게 품절 되고 있습니다. [81] Red Key12969 15/06/03 12969 0
58714 [일반] 메르스 병원 비공개 방침, 옳은가? [62] 일각여삼추9876 15/06/03 9876 4
58713 [일반] [해축] 어제의 bbc 가십 [37] pioren6601 15/06/03 6601 1
58712 [일반] 너만 힘드냐? [18] 이명박6531 15/06/03 6531 24
58711 [일반] 아들아...제발 울어..울음을 터트려줘.... [71] 스타카토10959 15/06/03 10959 28
58710 [일반] 마이클 잭슨이 활동 당시 가장 많은 돈을 벌었던 연도 Top10 [10] 김치찌개4168 15/06/03 4168 0
58709 [일반] 전 세계에서 국가 경쟁력이 가장 높은 국가 Top10 [2] 김치찌개3322 15/06/03 3322 0
58708 [일반] 에릭남/혁오/엑소/육성재X남주/장재인의 MV가 공개되었습니다. [8] 효연광팬세우실4417 15/06/03 4417 1
58707 [일반] DC에서 난리가 났네요. [127] 퐁퐁20477 15/06/03 20477 1
58706 [일반] [축구] 블리터 FIFA회장직 사퇴 [57] 곰슬기9192 15/06/03 9192 0
58705 [일반] 그 시점엔 떳어야 됐다 싶은 여자아이돌 노래 [48] 좋아요7688 15/06/03 7688 2
58704 [일반] 1 [70] 삭제됨13255 15/06/03 13255 7
58702 [일반] 메르스 환자 떠넘기기? [61] Holy shit !11045 15/06/02 11045 0
58701 [일반] 소리의 도시 파리 and 암스테르담 [3] 카슈로드2958 15/06/02 2958 0
58700 [일반] [펌] 사스(SARS)당시 참여정부의 대책과 결과 [95] 루비아이14476 15/06/02 14476 29
58699 [일반] 허풍선이 남작 뮌히하우젠 남작 이야기 [14] swordfish-72만세6955 15/06/02 695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