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2/27 05:36:28
Name HBP
Subject [일반] 소방관 초과근무 수당 지급소송 2년만에 합의... 30%는 기부?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1226222028638&p=imbc

매달 100시간이 넘는 초과근무의 열악한 현실.
그런데 지자체는 돈이 없다며 초과근무 수당 지급을 미뤘고 몇년간 그 금액이 전국적으로 2천억이 넘었습니다.

결국 소방관들은 2009년 소송을 했고 1심에서 전액지급 판결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 당연한 문제를 지자체가 '항소'하여 2년이나 끌어오다, 최근 울산시에서 첫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결과는 '밀린 임금의 70%지급, 30% 울산시 발전에 기부, 소방관채용 증가로 전면 3교대 실시' 입니다.

30%면 45억원입니다. 결코 적지않은 금액이지요.

3교대는 원래 점차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이 역시 지자체의 예산문제로 전면시행이 안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결국 진작에 시행되었어야 할 3교대를 위해 소방관 분들이 45억을 포기한 겁니다.

그만큼 현재 근무환경이 열악하다는 뜻이겠지요...


울산의 합의가 처음인만큼 다른 지자체에 미칠 영향도 걱정입니다.



진정한 시민들의 영웅들이 영웅다운 대접을 받기 원합니다.

- From m.oolzo.co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2/27 06:05
수정 아이콘
세상이 재밌는게, 원래 주어야 할 것들을 주지 않으면, 나중에는 그게 힘이 되기도 하죠. 딱 그 케이스네요...
역시 이놈의 나라는... 사람값이 제일 싸요.
이강호
11/12/27 06:07
수정 아이콘
자기내들 월급은 일사천리로 통과시키면서 아오... 정말 이런거 보면 정떨어져요..
Fabolous
11/12/27 06:56
수정 아이콘
좀 이해안가는 부분이 있는데요; 소방직은 내근 ,외근으로 구분되는데 외근은 추가수당이란가 자체가 해당이 안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만? 당일 아침 9시 ~다음날 아침9시 가 근무타임이거든요? 2교대일 경우. 이걸 넘겨서 초과근무 하는일은 하필 다음날 교대시에 출동 발생해서 초과근무하게 되는 경우인데, 이 경우는 그리 빈번하지는 않거든요. 그리고 내근의 추가수당은 뭐 다아실테지만 일반 공무원들의 '가라'가 적용됩니다. [m]
용의자X
11/12/27 08:06
수정 아이콘
외근도 추가수당에 해당됩니다.
보통 1일 근무 9시~다음날 9시 에 24시간 근무인데 점심시간, 저녁시간 빼고(사실 이것도 빼면 안되죠. 밥먹다가도 출동 나가는 경우가 허다해서..) 22시간 근무하게 됩니다. 보통 한달에 13일정도 근무하게 되는데 (한달에 1~2번정도 돌아가면서 쉽니다.순번제도라 부릅니다.) 공무원 근무시간(20일*8시간)을 넘어서는 근무시간은 모두 초과근무로 들어갑니다.
22*13-20*8=286-160=126(주말근무는 주말수당 나와서 이것저것 빼면 100시간정도..)
보통 한달에 평균 100시간 정도 나오시구요. 그 초과수당을 다 챙겨주지 않고 일부만 챙겨주시는 지자체가 대부분입니다.
제가 공익근무하던 소방서도 한달에 70시간만 수당을 주고 나머지는 안 주더군요.
이 미지급분에 대해서 소송을 걸었던 것이고 위와 같은 판결이 나온 모양입니다.
그리고 소방서 근무 특성상 내근도 6~8일마다 1일씩 당직을 섭니다. 새벽에도 큰 불 나고 하면 비상연락 돌리거나 각 소방서 지휘를 위한 인원이 항시 배치됩니다. 한달에 4번 가량 당직을 서게 되는데 주말에 당직 서거나 하면 초과근무 꽤 채울 수 있습니다.
물론 '가라'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고생하시는 소방관들이 대부분인데 그걸 '가라'라고 표현하면서 까내리시면 가슴 아픕니다.
앉은뱅이 늑대
11/12/27 08:04
수정 아이콘
30퍼 기부는 뭔가요? 기부는 자발적으로 하는거지 강제로 떼고서 기부라니... [m]
강동원
11/12/27 08:11
수정 아이콘
울산은 서울 다음가는 부자 지자체입니다. 그런 울산에서도 전액 지급을 못할 정도라면...
다른 지자체에서 과연 저정도의 합의점이라도 이끌어낼 수 있을지 걱정이네요.
11/12/27 10:27
수정 아이콘
30%가 울산시 발전이 아니라 소방대원 복지에 쓰이면 차라리 좋겠네요 ..
11/12/27 10:47
수정 아이콘
우리형이 울산시 소방관인데 봉대산 불다람쥐 잡힌것과 더불어 좋은 소식인것 같습니다.
吉高由里子
11/12/27 12:34
수정 아이콘
돈도 돈이지만 우선 3교대로의 전환은 굉장히 좋아보입니다.
2교대 하에서 갑부 화재, 을부 구급출동을 했던 의무소방으로서 그 시절 정말 힘들었었거든요. 들어간지 얼마 안된 때라 새벽에 출동소리도 아닌 방송틀려고 하는 시점의 묘한 소리에도 깰 정도로 긴장하고 살았어서...
앞으로 더욱 개선돼서 소방관분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241 [일반] 갤럭시s 불만대폭발(이었으나 투정투정글로 수정합니다) [100] christal5992 11/12/28 5992 0
34240 [일반] 대구 자살한 학생 학교 반응이 좀 충격입니다. [35] 부평의K8117 11/12/28 8117 0
34237 [일반] 나는 성대다. -소향 [14] 체념토스4049 11/12/28 4049 0
34236 [일반] 나꼼수 음란물 확산으로 민원당함 [27] 될대로되라5842 11/12/28 5842 0
34234 [일반] 지식채널e - 어떤 의사들 [19] 김치찌개5248 11/12/28 5248 0
34233 [일반] [스포]"나는 7ㅏ수다" 새가수 발표 [49] 에시앙6755 11/12/28 6755 0
34231 [일반] <나는 꼼수다> 3번째 호외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5] Abrasax_ :D6107 11/12/28 6107 0
34230 [일반] [쇼핑몰 연재] 1. 쇼핑몰 나만큼만 알면 먹고 살만 하다. [18] JunStyle6845 11/12/28 6845 3
34229 [일반] MLB 최고의 일본 출신 선수들 [11] 김치찌개5961 11/12/28 5961 0
34228 [일반] 부상 사상구 내년 총선 빅뱅? [98] 삭제됨5611 11/12/28 5611 0
34227 [일반] 삼가 조의를 표하고 싶습니다. [23] 삭제됨5775 11/12/28 5775 9
34225 [일반]  쿨타임이 찼으니 어김없이 뽑아보는 올해의 뮤직 Top 100 리스트(2) [9] hm51173405297 11/12/27 5297 3
34224 [일반] [복습해 봅시다] 후삼국 이야기 - 궁예와 견훤 [6] 눈시BBver.211584 11/12/27 11584 0
34221 [일반] 고등학생 보다 중학생의 범죄가 많고 악질적인 이유. [101] Alan_Baxter9535 11/12/27 9535 0
34220 [일반] 서능욱 기사 40년만에 우승. [24] 현상5519 11/12/27 5519 1
34219 [일반] 외국들인이 선정한 `한국에서` 가장 맛있는 버거 [31] 김치찌개8778 11/12/27 8778 0
34218 [일반] 해외이사업체의 횡포 [6] FanTaSia3656 11/12/27 3656 0
34217 [일반] 과연 나는가수다 다음 새가수는 누가 될까요??? [42] blackforyou5411 11/12/27 5411 0
34216 [일반] 뿌리깊은 나무 등장인물들 평가 [31] 눈시BBver.211296 11/12/27 11296 1
34213 [일반] [잡담] 내가 좋아하는 스타- 2. 가요대상&최우수연기상을 함께 가진 사람, 임창정 [11] 삭제됨3712 11/12/27 3712 1
34210 [일반] 리콜한방이 뽑은 '올해의 앨범 10장' [24] 리콜한방5835 11/12/27 5835 0
34209 [일반] 지식채널e - 마에스트로 [6] 김치찌개4635 11/12/27 4635 0
34208 [일반] 대구 자살 중학생의 어머니 CBS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 [105] 학몽7392 11/12/27 739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