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0/15 21:00:19
Name 대장군
Subject [일반] 2024년 노벨경제학상 - 국가간의 번영 격차에 대한 연구 (수정됨)
https://www.nobelprize.org/all-nobel-prizes-2024/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4/10/14/4VOFDFHS6NFTBM6IUNTJXN6TWE/

대런 아제모을루 MIT 교수, 사이먼 존슨 MIT 교수와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 교수께서 국가 간의 빈부 격차 문제에 대한 경제, 정치와 사회적 제도의 영향을 연구하여 2024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수상 소감에서 한국을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언급 하였습니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4/10/15/FOO7ZDZJGZCITP7OSYVNX4X3AQ/

이 분들이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포용적 정치와 경제 제도를 강조합니다. 이 책에서도 제도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예시로 한국과 북한을 비교합니다.

* 좁은 회랑:국가 권력과 시민 사회간의 견제와 균형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 권력과 진보: 기술 발전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방구차야
24/10/15 21:33
수정 아이콘
동일한 샘플군에서 사회체제의 차이로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대표하는게 전세계적으로 한국과 북한일겁니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을 비교해보면 좀더 미묘해지는데요, 중국이나 인도의 부족한 시민사회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룬 경제적 성과는 단지 북한이라는 최악의 샘플과 한국이라는 미국의 안보와 보증혜택을 받는 샘플로 극대비해 분석하긴 어려운점이 있을겁니다. 일본 역시 국가권력과 시민사회의 간극이 선진화되었다고 보긴힘들고 또 잃어버린 시절과 긴 저성장은 이에 기인한건 아닐거라서요. 자유주의 국가라인에 속하는지, (메인 시장이되는)미국과 유럽의 안보와 가치관에 부합하는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주제파악에 맞춰 열심히 역할을할 국가적 사회적 견제가 작동하는지에 더 영향을 받을것같습니다.
노둣돌
24/10/16 11:11
수정 아이콘
한국도 독일 일본처럼 정부주도의 경제개발 계획을 통해 산업화를 이루어냈습니다.
개도국은 개별기업이 자본을 축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가가 나서지 않으면 산업화 추진이 어렵고, 따라서 국가주도의 계획경제는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됩니다.
국가마저도 자본이 없던 한국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차관제공이 큰 힘이 되었습니다.
한반도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간의 체제 비교를 위한 좋은 표본이라서 미국은 남한에 대한 지원에 매우 적극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차관도입과 합작회사 설립을 통한 기술제공으로 산업화가 수월하게 진행된 것이죠.
우리가 흔히 보는 지에스-칼텍스, 금호-몬산토, 한화-바스프 등의 한글이름과 외국이름의 혼합된 기업형태가 이렇게 탄생된 것입니다.
한글 덕택에 문맹률이 매우 낮은 양호한 노동력도 큰 힘이 되었고요.
토지개혁도 소작농을 대대적으로 탈피시킴으로써 학력 고취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런 내용은 프레이저 보고서에 나온 거라서 많이 들 알고 계실 겁니다.

중국도 미국의 전략적 선택에 의해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입니다.
아시다시피 글로벌 달러공급과 생산기지로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었죠.

유럽도 마샬 플랜으로 미국이 이끈 측면이 크죠.

결론은 화폐패권과 기술력을 가진 미국의 선택이 가장 중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책에 언급하기는 어려웠을 거고, 가장 중요한 이 내용을 뺀 분석일 거로 추측됩니다.
무냐고
24/10/16 11:44
수정 아이콘
중국, 인도도 지금 충분히 포용적이진 않지만, 발전과정에서 계속 포용적인 방향으로 가고있지 않나요?
포용적인 제도에 시장경제 도입이나 권위주의 완화도 포함되니까요.
파프리카
24/10/15 22:32
수정 아이콘
작년에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재미있게 읽었는데 거칠게 요약하자면

1. 일단 중앙집권부터 (이거 안되면 아무것도 안됨)

2. 재산권과 저작권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자유 시장경제 제도

3. 사회적 가치를 특정 지배층이 독점하지 못하게 하는 여러 견제수단의 마련 즉 민주주의의 확립

이상 3가지가 이루어져야 "성공"할 수 있다고 저자들이 보는 거 같습니다.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다면 일단 권위주의 체제 하에서도 1,2가 갖춰지면 어느정도 경제성장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은 힘들다는게 책의 설명이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중국의 경제성장 역시 어느순간 한계에 부딪힐 꺼라고 전망하고 있는데 지금은 어떻게 보고있을지 궁금하긴 하더군요.
닉네임을바꾸다
24/10/15 22:45
수정 아이콘
뭐 중진국함정에 빠지는건 사실 대부분 걸리는거고 그걸 뚫는게 이레귤러라서...크크 뭐 현행 중국 공식발표상으로도 성장속도가 급격히 꺼지고 있긴 하죠...
VictoryFood
24/10/15 23:21
수정 아이콘
한국이 군부 시대에 1, 2를 갖추고 문민 체제에서 3이 된게 성공의 요건이었군요.
실제상황입니다
24/10/16 02: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데 군부 시대에 1,2를 갖추는 과정에서 체득하게 된 전국토 전사회의 효율주의는 현행 문민 체제에서도 여전히 유효해 보이는데, 그로 인한 사회 레벨의 에너지 감퇴가(일종의 탈진현상이)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지 않나 싶은 작금의 시대상황에 대해서는 또 어떻게 생각할지 문득 궁금해지는군요.
대장군
24/10/16 18:01
수정 아이콘
세계에 유례가 없는 급속한 압축 성장의 부작용이겠죠...
미드웨이
24/10/16 10:34
수정 아이콘
사실 3도 어느정도는 군부이전부터 갖추어진 영향이 크죠. 토지개혁으로 사회적 가치가 분배되고 한국전쟁으로 독점당하는 가치가 사라져버리고.
전기쥐
24/10/16 00:03
수정 아이콘
중앙집권이면서도 각 계층이 재산을 독점하지 못하고 서로 경쟁, 견제하는 구도가 되어야 하는데 이게 정말 힘들죠.
24/10/16 09:47
수정 아이콘
그 책에서 언급하는 중앙집권의 개념이 뭘까 하는 의문이 드네요.

동질성을 지닌 인구집단 안에서 여러 정치/무력집단이 상대를 배제하고 자신의 정통성만을 주장하며 경쟁 중이다, 라는 설정을 해 본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남북한인데, 한반도는 남북 모두 중앙집권이 가장 완벽하게 확립된 곳들 중 하나잖아요? 애초에 '중앙'이라는 건 정의하기 나름이라.. 그러면 '중앙'집권 자체가 아니라 전쟁이 없고 안정적 정치체제가 시스템에 따라 작동하고 있다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예를 몇가지 더 들어 생각하면 소말리아야 중앙집권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는 상태이겠는데요. 싱가폴은 어떨까요. 정치적으로는 통일되고 안정된 상태지만, 고작 도시 수준의 사이즈에서 그런 것도 '중앙'집권으로 칠까요? 또 미국은 주 정부들의 자율성이 높은 편인데, 미국을 중앙집권이 안 된다고 하는 사람은 없을 것 같고요. EU는 느슨한 연합이지만 중앙집권이 안 되어서 발전을 못 하는 것은 아닐 것 같고요.
전기쥐
24/10/16 10:03
수정 아이콘
중앙정부가 손을 쓸 수 없는 군벌이나 마약 카르텔이 곳곳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나라가 아니라는 의미로 저는 생각했습니다.
무냐고
24/10/16 12:09
수정 아이콘
중앙집권은 필요조건중에 하나인데 충분조건으로 보려고 하셔서 헷갈리시는게 아닐까요?
남북한을 중앙집권 여부가 아니라 전쟁이 없고 안정적인 정치체제인지 여부로 봐도 차이가 없죠. 2번 3번에서 갈리는 부분이니까요.

싱가포르의 중앙집권 여부는 의심할 바가 없이 확실한데 '도시'국가를 국가와 동일하게 보느냐가 중요하지 싶고
EU 회원국들이 각각 중앙집권이 된거지 그들이 모인 EU가 중앙집권이 되는건 아니잖아요. 애초에 EU가 국가가 아니긴 한데 중앙집권이 안돼서 발전이 더딘 사례에 속한다고 봅니다.
파프리카
24/10/16 21:13
수정 아이콘
일단 책에서 예시를 든게 비슷한 환경 속에서 살던 콩고의 두 부족 이야기입니다. 한 부족은 강력한 왕권 하에 국가체제를 이뤘고(중앙집권) 다른 한 부족은 그렇지 못했는데 이러한 점이 발전 단계의 차이와 경제 격차를 가져왔다는 겁니다.

말씀하신 EU는 개별 주권국가들의 연합이기 때문에 이걸 지방분권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고, 미국의 경우 영국의 식민지로서 중앙집권의 경험과 비교적 '수준높은' 정치체제를 갖춘 채로 출발했기 때문에 반례가 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싱가폴 같은 경우에는 중앙정부에서 도시 영역 전체를 철저하게 통제하고 행정과 사법을 집행하기 때문에 굳이 따지자면 중앙집권국가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중앙집권을 이루지 않더라도 세력 균형이 절묘하거나 경제 수준이 원시적이라면 어디까지나 비교적 안정되고 평화로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이 것이 정치체제의 정비와 국가 발전으로 이어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오늘날 국민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추구하는 지방분권이라는 것도 중앙집권이 먼저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한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래도 중앙집권이란 용어가 이해가 안가신다면(저도 책읽은지 좀 되어서 정확한 워딩인지는 아리까리 합니다.. 쓰면서도 좀 찝찝했어요..) [정부가 국가 영역 전체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권력을 갖추는게 선행조건] 정도로 받아들이시면 어떨까 합니다.
시드라
24/10/16 12:04
수정 아이콘
3번 실패한 대표적인 국가가 필리핀이죠

지주 가문들이 그대로 상류층이 되면서 한국보다 잘 살았던 나라가 폭싹 망했습니다

지금 한국도 재벌, 법조계, 의료계 등 점점 특정 집단들이 카르텔을 형성하는 엘리트 카르텔 사회가 되어가고 있죠

이건 약 10년전 ebs 명견만리에 출현했던 외국인 학자가 했던 말이기도 합니다
우상향
24/10/15 23:31
수정 아이콘
비교 대조군 확실한 한반도... 한국 없었으면 어쩔 뻔.. 한국에 감사하십시요.
허락해주세요
24/10/16 04:07
수정 아이콘
시실상 단 한개의 유효표본...크크
시드라
24/10/16 12:04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한국이 이상한 나라 아닐까요?

군 이라고 보기엔 유니크 하니까요
무냐고
24/10/16 12:13
수정 아이콘
성장환경 다른 일란성 쌍둥이급이죠 크크
신성로마제국
24/10/16 08:55
수정 아이콘
경제발전론 수업에서 과제로 읽고 독후감 썼던 책이네요. 선진국의 포용적 제도와 후진국의 착취적 제도에 관해서 얘기하는데, 후진국에 착취적 제도를 심어놓고 떠나고 자유무역으로 사다리 걷어차기한 게 누군데, 하면서 삐딱하게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저자는 터키인이지만)
24/10/16 09:56
수정 아이콘
총균쇠의 다이아몬드도 한국 사례가 걸려서 개정판 내면서 여러 언급을 하더군요.

그러나저러나 이번 무더위를 겪으며 환경결정론도 꽤 크다고 공감하게 되더군요.
미드웨이
24/10/16 10:28
수정 아이콘
싱가폴 국부인 리콴유가 싱가폴은 에어컨때문에 발전했다 라고 말할정도니. 열대지방은 에어컨 보급 이전에는 답이 없는 동네죠.
24/10/16 10:35
수정 아이콘
시에스타 문화가 은근 게으르다고 생각했는데, 올해 겪어보니 안그러다가는 몸이 축나겠더군요.
일각여삼추
24/10/16 10:28
수정 아이콘
오, 어떤 언급이 있었을까요?
24/10/16 10:34
수정 아이콘
집에 가서 찾아볼게요 .개정판 서문인가 있었는데 ㅠㅠ 기억이 안남
시드라
24/10/16 12:05
수정 아이콘
저도 환경 영향이 큰건 머리로 알고 있었는데

올 여름 더위 겪으면서 제 마릿속보다 더 크다는걸 실감했습니다
다크드래곤
24/10/16 13: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읽었을 때 저는 드는 의구심이

총, 균, 쇠의 환경결정론과 반대되는 이야기였던 걸로 기억하고 있는데 개인적인 시각에선 환경결정론보다 정치체제가 더 중요하다라는 가설은 불가하다 생각하기에 조금 의구심이 드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정치체제가 환경에 의해 선택된다가 더 맞는 근거가 아닐까 싶고
림랜드의 양쪽 끝이자, 공산권과 자유주의 진영의 경계에 있는 대한민국, 독일과 베트남 분단 된 것만으로도 지리적, 환경적 요인이 매우 크게 작용한다는 점을 볼 수 있는데 이보다 정치체제가 선행한다는 점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저자의 말대로 사회제도가 흥망성쇠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지만, 가장 좋은 루트역시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원주의, 포용적 경제제도 역시 역사적 흐름에 따른 트랜드에 가깝지 않나 생각합니다.
국가 간 고립 주의 노선이 국제적인 트랜드가 되었을 때, 다원주의는 오히려 국가간에 갈등을 유발하고 사회적 비용을 촉진 시킬 수 있게 되고,
유렵이 현재 경제적으로 힘을 못쓰고 있는 것도 다원주의에 의해 생성된 갈등 및 의사결정의 딜레이 영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결국 가장 이상적인 정치체제라는 것은 존재 할 수 없고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비율의 레시피가 사회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배합이 필요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young026
24/10/25 14:20
수정 아이콘
범주가 다르죠. 총균쇠의 환경결정론은 대륙급 거대 인류집단의 최소 수백년 역사를 대상으로 하는 담론이고 본문 얘기는(이쪽은 아직 안 읽어봤습니다만 아마) 정치단위(≒국가) 수준에서의 비교적 단기에 대한 의견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대충 이 접경지대에 위치해서 논란이 되는 주요 사례로 생각나는 게 '산업혁명이 어떻게 일어났는가'로군요.
다크드래곤
24/10/25 17: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 내용과 같이 환경결정론은 좀 더 롱텀을 기준으로 하고 본문은 좀 더 짧은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내용으로 범위에 차이가 있겠네요.

해당 저자는 1단계 2단계 이후 3단계에서 다원주의, 포용적 경제제도를 채택하는 것이 국가 발전의 핵심이라는 의견인데
다만 저는 본문의 저자의 주장과는 다르게, 가장 이상적인 정치체제라는 것은 존재 할 수 없다라는 의견입니다.
그리고 그 정치체제를 선택하는 결정 역시 환경이 선택압으로 크게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긱이였습니다

[그리고 대충 이 접경지대에 위치해서 논란이 되는 주요 사례로 생각나는 게 '산업혁명이 어떻게 일어났는가'로군요.]
그쵸. 저는 이때도 지리적 이점이 크게 작용했다 생각을 해서요
24/10/16 22:26
수정 아이콘
일단 지금 사회계급이 망하고 다시 시작해야하는 테크트리를 타야....
국가 경제발전은 독재자가 있어야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발전하는것도 어느정도는 정설이고요.
그리고, '운'이라는것도 매우 큽니다. 이걸 언급하는순간 기도메타로 들어가서 책에 쓰긴 힘들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470 [일반] <조커2 : 폴리 아 되>에 관한 옹호론 (1,2편 스포有) [155] 오곡쿠키6266 24/10/16 6266 7
102469 [일반] [2024여름] Fourteen years ago and now [5] 제랄드2493 24/10/16 2493 8
102468 [일반] 2024년 노벨경제학상 - 국가간의 번영 격차에 대한 연구 [30] 대장군8560 24/10/15 8560 2
102466 [일반] 카리스마와 관료제 그리고 그 미래 [14] 번개맞은씨앗5100 24/10/15 5100 0
102465 [일반] [2024여름] 아기의 터 파는 자세 / 덤 사진 (움짤 용량 주의) [23] 소이밀크러버5413 24/10/15 5413 23
102464 [일반] [2024여름] 작년에 이어 올해도 참여해봅니다. [6] 뿌루빵3509 24/10/15 3509 10
102463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1. 등불반짝거릴 형(熒)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2287 24/10/15 2287 3
102462 [일반] PGR21 2024 여름 계절사진전을 개최합니다 及時雨2283 24/09/21 2283 0
102461 [일반] [역사]빔 프로젝터는 왜 TV보다 비쌀까? | 프로젝터의 역사 [8] Fig.15074 24/10/14 5074 7
102460 [일반] 가을 테마 음원이 오늘 발매되었는데... 지금이 가을 맞을까요?-_-;; [2] dhkzkfkskdl3308 24/10/14 3308 0
102459 [일반] [예능] 흑백요리사 감상문(스포 있음) [14] 라울리스타5408 24/10/14 5408 24
102458 [일반] 병무청 설립이래 최초 "자발적 대리입대" 적발 [43] 계피말고시나몬8343 24/10/14 8343 1
102457 [일반] (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이 드라마 미쳤네요!!! [44] Anti-MAGE8692 24/10/14 8692 3
102456 [일반] [서평]《왜 내 사랑은 이렇게 힘들까》- 모든 애착이 다 가치가 있지만, 모든 사람이 다 안정 애착을 누릴 수 있다 [2] 계층방정3004 24/10/14 3004 4
102455 [일반] 전성기 이주일 선생님의 위상을 나름 느낄 수 있는 사진 [42] petrus10251 24/10/13 10251 4
102454 [일반] 요즘 본 영화 [8] 그때가언제라도8879 24/10/12 8879 2
102453 [일반] 『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18] meson8615 24/10/12 8615 35
102452 [일반] 고급 휘발유는 왜 비싼가? 및 잡설 [22] 좁쌀9601 24/10/12 9601 4
102451 [일반] 추억은 미화되기 마련이다. [17] 럭키비키잖앙7813 24/10/12 7813 8
102450 [일반] 기노시타 히데요시, 가네가사키의 전설을 쓰다 [8] 식별4554 24/10/12 4554 5
102449 [일반] [2024여름] 인생 첫 유럽 여행 [30] 시무룩3318 24/10/12 3318 13
102446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40. 22-39편 정리 계층방정3382 24/10/11 3382 2
102445 [일반] <전란> 후기(노스포) [14] 라이징패스트볼6687 24/10/11 6687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